엔비디아, 서버에 스마트폰 메모리 탑재···메모리 가격 두 배 뛸까

2025-11-20

엔비디아가 AI 서버에 기존 서버용 메모리 대신 스마트폰용 메모리를 장착하면서 내년 서버용 고급 메모리 가격이 갑절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19일(현지시간) 반도체 품귀 현상이 지속되면서 내년 2분기 메모리 가격이 현재보다 50% 오를 것이라 내다봤다. 특히, 고급형 메모리 가격은 내년 말까지 두 배로 오를 것이라 전망했다.

이 같은 메모리 가격 인상의 배경에는 엔비디아의 메모리 정책 변경도 영향을 미쳤다. 엔비디아는 자사의 AI 서버에 서버용 메모리인 DDR 대신 스마트폰용 메모리인 LPDDR을 탑재했다. 보통 서버에는 오류정정 코드(ECC)가 탑재된 서버용 메모리를 사용해 오류정정 기능이 있다는 점은 장점이지만, 전력을 많이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엔비디아는 전력 효율이 좋은 스마트폰용 메모리를 택했다. 대신 오류 정정 기능은 중앙처리장치(CPU) 단계에서 처리하기로 했다.

이 정책으로 인해 스마트폰용 메모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공급사들도 서버용 대신 스마트폰용을 생산하는 쪽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어 서버용 메모리 품귀가 더 심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버용 저가 메모리는 이미 공급 부족으로 상당한 수준의 웃돈 거래가 이뤄질 정도다. 고급 메모리인 DDR5가 Gb(기가비트)당 1.5달러 선에 거래되는 데 비해, 소비자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구형 DDR4 가격은 이보다 더 비싼 2.1달러에 달한다. 이는 엔비디아 서버에 장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 'HBM3e' 가격 1.7달러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카운터포인트의 MS 황 연구책임은 "앞으로 고급 메모리 분야에 더 큰 위험이 다가올 것"이라며 "엔비디아의 메모리 전환은 공급망에 지각변동을 가져올 수 있는 규모"라고 전망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