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AI 신약개발' 9위 그쳐…임상 공백 뚜렷

2025-09-16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분야에서 한국의 연구 경쟁력이 글로벌 9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중국 등 선도국가와 비교해 연구량과 질적 수준 모두 격차가 크고, 임상과 전임상 단계 연구는 사실상 공백 상태라는 지적도 나왔다.

16일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발간한 ‘AI 신약 개발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에 따르면 2015∼2024년 국내에서 발간된 AI 신약 관련 논문은 1016건으로 미국(9094건), 중국(7469건), 인도(3098건) 등에 이어 9위에 머물렀다. 일본(1121건)은 8위였다.

논문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피인용 수 역시 한국은 2만 2544건으로 1위인 미국(30만 8522건)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중국(12만 7223), 캐나다(10만 7737건), 영국(7만 8159건) 등 주요국과도 큰 격차를 보였다. 다만 논문 영향력을 평가하는 상대인용률(RCR) 기준으로는 7위(2.20)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한국이 후보물질 발굴을 비롯해 임상시험 및 전임상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연구가 상당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임상 연구는 사실상 전무한 수준이며 임상 연구도 미국·중국 대비 크게 뒤처져 신약개발 전주기 활용도가 낮다는 것이다.

특허 경쟁력도 뒤처졌다. 미국 특허청(USPTO)에 등록된 AI 신약 관련 특허 중 한국은 단 한 건도 확보하지 못한 반면 미국·영국·스위스 등은 평균 이상의 기술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한국이 글로벌 무대에서 특허를 통한 질적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정부는 뒤처진 경쟁력 만회를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AI 신약개발 관련 정부 투자는 2022년 451억 원에서 2023년 567억 원으로 연평균 12.2% 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공지능 활용 혁신 신약 발굴’ 사업과 과기정통부·복건복지부 공동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 등이 대표적이다. 보고서는 “AI 신약개발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최적의 육성 방향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