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0대 기업 평균 근속연수 14.03년
여성 근속기간 4년 새 1.56년 증가
기아 가장 길고 두산밥캣 가장 짧아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가 지난 2020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직원의 근속기간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며 전체 상승세를 이끌었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매출 상위 100대 기업 중 최근 5년간 근속연수를 공시한 80곳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평균 근속연수는 14.03년으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2020년(13.55년)보다 0.48년 늘어난 수치다.

평균 근속연수는 사업 부문 또는 성별별 수치를 직원 수로 가중 평균해 산출됐다. 공시 기준의 전체 평균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020년 이후 평균 근속연수는 2021년 13.70년, 2022년 13.63년, 2023년 13.91년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여성 직원의 근속연수는 같은 기간 11.38년에서 12.94년으로 1.56년 늘었고, 남성은 14.29년에서 14.41년으로 0.12년 증가했다. 이에 따라 남녀 간 격차는 2.91년에서 1.47년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기업별로는 기아가 평균 21.80년으로 가장 길었고, KT(20.50년), SK인천석유화학(20.00년), 한국씨티은행(18.84년), SK에너지(18.68년)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두산밥캣은 3.20년으로 가장 짧았고, 미래에셋캐피탈(4.20년), HD현대중공업(4.30년) 등도 낮은 수준을 보였다. HD현대중공업은 2019년 분할 설립을 기준으로 공시돼 상대적으로 짧았다.

근속연수가 가장 크게 늘어난 기업은 SK네트웍스로 2020년 9.05년에서 2024년 13.92년으로 4.87년 증가했다. 이외에 HD현대중공업(3.40년 증가), 이마트(3.20년 증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3.00년 증가) 등이 두드러졌다.
반면 현대자동차는 18.80년에서 15.80년으로 3.00년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SK에너지(2.31년 감소), 고려아연(2.17년 감소), 한화생명(1.70년 감소) 등도 하락 폭이 뚜렷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