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째 최다
배민 527건, 쿠팡이츠 241건... 2020~2023년
신장식 의원 "중대재해법 적용... 정치권 나서야"

[디지털포스트(PC사랑)=이백현 기자] 배달 플랫폼 업계가 수년째 산업재해 승인 건수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권과 노동계에서는 배달 노동자들의 과로·저임금 구조를 지적하며, 중대재해처벌법 적용과 안전운임제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이 11일 공개한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청년들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 연속 산재 승인 1위(527건), 쿠팡이츠는 2위(241건)를 기록했다. 배달 노동자 산재 승인 건수는 2019년 537건에서 2022년 3,879건으로 7배 이상 늘었다.
최근 사고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31일 서울 반포에서 배달 노동자가 버스와 충돌해 사망한 데 이어, 이달 5일 경기 군포에서는 쿠팡이츠 소속 40대 라이더가 교통사고로 숨졌다.고인은 쿠팡이츠 ‘골드 플러스’ 조건을 맞추기 위해 2주간 400건 이상 배달과 90% 이상의 콜 수락률을 유지했고, 폭염 속 심야 배달까지 거부하지 않으며 하루 14시간씩 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의원은 “단순 교통사고가 아니라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사고”라고 지적했다.
라이더유니온은 이 같은 구조를 바꾸기 위해 12일 ‘배달 노동자 죽음의 행진’을 진행한다. 고인이 숨진 군포역에서 100여 명의 라이더가 용산 대통령실까지 오토바이로 이동해 추모 행진을 벌이고, 대통령실 앞에서 약식 추모제와 함께 요구서한을 전달할 예정이다.
신 의원은 “죽음의 행렬을 멈추기 위해서는 중대재해처벌법을 확대 적용해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 등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이번 사건의 근본 원인인 저임금 문제 해결을 위해 화물 노동자에게 적용되는 안전운임제와 같은 제도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당사자 합의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만큼 정치권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포스트(PC사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