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LG전자 등 17개국 450개 기업 참여
AI 에이전트·AI 체험 공간에 관람객 성황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국내 최대 규모의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2025 월드IT쇼(WIS)가 24일 개막 첫날부터 성황을 이뤘다. 관람객들은 기업들의 인공지능(AI) 기술이 모인 WIS를 찾아 최신 AI 기술을 체험했다.
이번 WIS에는 삼성전자, LG전자, SKT, KT, 현대자동차, 삼성SDS 등의 글로벌 기업과 퓨리오사AI, 텔레칩스 등 AI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유망기업 등 17개국 450개 기업이 참여했다.

◆ 갤럭시 AI 앞세운 삼성·AI 홈 강조한 LG
이날 직접 찾은 현장에서 갤럭시 AI를 전면 강조한 삼성전자 전시관을 만나볼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 시리즈의 곡선을 반영한 라운드형 전시관을 마련하고 갤럭시 S25 시리즈 중심의 체험 공간을 구성했다. 총 870㎡ 규모로 조성된 전시관은 갤럭시 AI를 전면적으로 앞세웠다.
현장에서 관람객들은 갤럭시의 AI 기능을 직접 체험했다. 특히 AI 기능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에게 AI 기능을 알려주는 'AI 클래스', 'AI 카메라 클래스'에는 머리가 희끗한 관람객들이 군데군데 보였다.
클래스에서는 '단체 사진을 찍었는데 나만 눈을 감았을 경우 AI로 사진을 수정하는 법' 강의가 진행됐다. 해외 식당에서 메뉴를 주문해야 할 때 메뉴판을 번역할 수 있는 AI 기능도 클래스를 통해 소개됐다.
갤럭시 S25에 탑재된 구글의 생성형 AI 제미나이를 소개하는 공간도 있었다. '이선좌', '혼코노미' 등의 신조어를 제미나이에게 물어보면 결과값을 소개했다.
관람객들은 올해 초 출시된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 S25 시리즈를 사용해 AI 기능을 체험해볼 수 있었다. 갤럭시 북5 360, 갤럭시 탭 S10 시리즈 등 다른 갤럭시 제품들을 마련해볼 수 있는 체험공간도 함께 마련됐다.

LG전자는 AI를 기반으로 한 AI 홈을 구현했다. LG AI홈, 이동형 AI홈 허브, 스탠바이미2 갤러리, 몰입형 시네마, webOS 시어터 등으로 구성된 전시관은 'LG AI 스퀘어'를 중심으로 연결됐다.
관람객들의 관심을 끈 것은 올해 초 세계 최대가전박람회 CES 2025에서 공개된 AI 로봇 큐나인(Q9)이었다. 조그만 크기의 이 AI 로봇은 안내 직원의 요청에 답하면서 작업을 수행했다.
"책 읽어줘"라고 하고 '빨강머리 앤' 책을 보여주면 책 표지를 보여준 것 만으로도 책을 읽어줬다. 그림을 그리면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큐나인은 이동형 AI홈 허브로 집안의 조명을 조절하는 스마트홈의 역할도 한다.
LG전자는 AI TV는 직접 사용자와 대화하며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기도 했다. 원하는 화질과 음질을 고를 수 있는 것은 물론 영화를 검색하다가도 "축구가 보고 싶은데 이번 시즌 세리에A에서 가장 치열했던 경기를 보여줘"라고 하면 관련된 내용을 찾아 보여주는 식이다.
이동형 디스플레이로 큰 관심을 끌었던 스탠바이미와 이번에 최초로 공개된 LG 스마트모니터 스윙도 관심을 끌었다. LG 스마트모니터 스윙은 모니터암을 이동식 스탠드와 결합해 모니터 높낮이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 AI DC 전면 앞세운 SKT·체험 공간 강조한 KT
SK텔레콤은 'AI 인프라 슈퍼하이웨이'를 테마로 864㎡(약 261평)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했다. 우선 AI 데이터센터(AI DC) 콘셉트로 마련된 전시관이 눈에 띄었다. 데이터센터 모양의 전시관 내부로 들어가면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와 올해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에서 글로모(GLOMO) 어워드를 수상한 페타서스 클라우드(Petasus Cloud) 서비스도 만나볼 수 있었다.
SK하이닉스의 D램 최고 솔루션 'HBM3E'는 물론 차세대 메모리로 꼽히는 CXL(Compute eXpress Link) 등 AI DC를 구성하는 AI 반도체와 SKT가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 중인 리벨리온의 NPU(신경망처리장치: Neural Processing Unit) 기반 AI 가속기 등도 함께 전시됐다.
B2C 서비스로는 자체 개발 거대언어모델(LLM)인 '에이닷 엑스(A.X)'를 포함해 다양한 LLM을 탑재한 AI 에이전트 에이닷(A.)이 전시됐다.

KT는 체험 이벤트를 대대적으로 진행했다. KT는 AI 마스터 브랜드 'K 인텔리전스'를 주제로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AI 기술을 선보였다. 체험 위주의 전시를 진행해 관람객들이 줄지어 있었다.
한옥 기와 지붕을 형상화한 입구와 대형 전광판에는 AI 유채꽃 풍경이 꾸며졌다. 한옥 마당은 ▲K 인텔리전스(intelligence) ▲어울림 마당 ▲기업 마당 ▲연구 마당 ▲배움 마당 ▲상생 마당 ▲놀이 마당 ▲즐거움 마당 8가지 존으로 구성됐다.
가장 인기 있는 코너는 야구단 KT 위즈의 경기 관람권을 경품으로 제공하는 체험공간이었다. 관람객이 참여해 공을 던져 일정 구속 이상이 나오면 경기 관람권을 제공했다. 시속 60km만 넘어도 관람권을 제공해 어느 코너보다도 인기였다.
이외에도 '즐거움 마당'에 지니뮤직 케이팝 음원과 함께 AI가 생성한 댄서와 관람객이 함께 춤을 추는 이벤트도 진행됐다. 관람객들은 부끄러워하면서도 이벤트에 참여하면서 이번 전시를 즐겼다.
각종 AI 모델도 소개됐다. '관리형 프라이빗 클라우드(Managed Private Cloud)' 국내 최초 KT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폰(Microsoft Teams Phone)'과 기업과 고객 간 문자, RCS, 국제 SMS, 알림톡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KT 커뮤니즈(Communis) 플랫폼 등 클라우드 기반의 B2B 서비스 3종이 전시됐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앞으로 ICT 산업은 AI를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될 것이며 이에 발맞춰 ICT 연구개발 성과가 시장에서 빠르게 구현돼 경제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에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며 "내년 월드IT쇼는 더욱 진화한 ICT 기술과 제품을 통해 글로벌 대표 ICT 전시회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