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인도 재무부가 직원들에게 생성형 인공지능(A)인 챗GPT와 딥시크를 사용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정부 문건과 데이터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 인디아 투데이 등에 따르면, 인도 재무부는 지난달 29일 내부 통지문을 통해 "사무실 컴퓨터 및 기기의 AI 도구와 AI 앱(챗GPT·딥시크 등)이 정부 데이터 및 문서의 기밀성을 위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 같이 지시했다.
로이터는 "호주와 이탈리아 등도 데이터 보안 위험을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제한했다"며 "인도 재무부의 관련 조치는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의 인도 방문을 하루 앞둔 지난 4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어 인도 정부의 다른 부처도 유사한 지시를 내렸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오픈AI는 인도에서 현지 매체들과 저작권 소송 중에 있다.
인도 통신사 아시안 뉴스 인터내셔널(ANI)은 "오픈AI가 자사 뉴스 콘텐츠 및 데이터를 거대언어모델(LLM) 훈련에 무단 사용하고 ANI를 출처로 잘못된 정보를 생성했다"며 2000만 루피(약 3억 3300만원)의 손해배상금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 오픈AI 측은 "자사는 인도에 서버를 두고 있지 않다"며 "인도 법원은 이 사안을 심리할 권한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https://img.newspim.com/news/2025/01/28/2501280345208761.jpg)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