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가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 공모에 선정돼 석유화학산업의 고부가가치 전환 기반을 마련했다.
전남도는 8일 산업부의 ‘폴리올레핀 활용 다공성 전극소재 제조 및 친환경 공정기술개발’ 사업에 최종 선정돼 총 166억원(국비 111억·민자 55억)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사업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간 추진되며, 여수국가산단에 위치한 DL케미칼이 주관한다.
과제는 중국·중동 지역 설비 증설로 수출이 급감한 폴리올레핀(PE·PP 등)을 고부가가치 다공성 소재로 전환하는 제조·공정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열분해와 구조제어를 통해 다공성과 전도성을 부여, 이차전지 음극소재 등에 활용되는 다공성 탄소소재를 국산화하는 것이다. 현재 다공성 탄소소재는 원료부터 완제품까지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화가 이뤄질 경우 석유화학산업의 위기 극복과 이차전지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수국가산단은 최근 석유화학산업 침체로 가동률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지난 7월 기준 가동률은 77% 수준으로, 90%대를 유지하던 불과 몇 년 전과 비교하면 뚜렷한 하락세다. 특히 폴리올레핀 제품은 해외 공급 과잉으로 수출길이 막히면서 대표적인 피해 품목으로 지목된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여수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원사업에 선정된 상황에서 이번 과제의 의미가 크다”며 “범용소재 중심에서 고부가 소재로 전환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국가 공모사업을 지속 유치해 기업의 새 활로 개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