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2025-11-20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금융감독원이 한국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키움증권의 최고경영진(C레벨)을 불러 모험자본 공급 강화와 건전성 관리, 투자자 보호 체계 확립이라는 세 가지 중점 과제를 일괄 제시했다.

종합투자계좌(IMA)와 발행어음 사업 인가를 받은 주요 증권사들에게 “형식적 대응이 아닌 본업인 생산적 금융 역할을 수행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20일 금감원은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IMA 지정), 키움증권(발행어음 인가) 등 3개사의 운용·리스크·재무·준법 담당 C레벨 임원 12명을 불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는 전날 두 대형 증권사가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로 지정된 데 이어 향후 IMA 시장이 활성화되기 전에 설계, 판매, 운용, 사후관리 전 과정에 대한 사전 점검을 하겠다는 의도가 담겼다.

금감원은 이날 회의에서 모험자본 공급 기능을 ‘의무비율 채우기’ 수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못 박았다. 서재완 금융투자 부원장보는 “모험자본 공급은 정책 대응이 아니라 금융투자회사의 본연의 역할이다. 의무 비율만 충족하는 ‘무늬만 모험자본 투자’를 지양해야 한다”며 “기업 생애주기별 맞춤형 자금공급과 위험군별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통해 중소·벤처·혁신기업에 실질적 성장 자금을 공급하라”고 주문했다.

금감원은 향후 종투사의 모험자본 공급 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투자 구조·속도·성과 등 전반을 관리할 계획이다.

또한 유동성·건전성 관리 강화도 핵심 요구사항으로 꼽혔다. 단기 조달 중심 구조가 자본시장 전체의 리스크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경고했다.

서 부원장보는 “단기 조달 기반 리스크가 자본시장 전체로 확산해선 안 된다”며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체계를 정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금감원은 IMA·발행어음 조달자금의 만기 구조, 자금 흐름, 유동성 지표 등을 실시간에 가까운 상시 체계로 고도화하라고 지시했다. 2022년 하반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가 증권사 전반의 유동성 불안으로 번졌던 사례도 이 자리에서 언급됐다.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는 ‘사후 제재’가 아니라 ‘사전 예방’ 중심 체계로의 전환을 요구했다.

금감원은 불완전판매 발생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품 설계 단계부터 판매·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검증하라고 지적했다. 특히 성과급 구조와 관련해선 “불완전판매 발생 시 성과급 환수 등 책임 있는 조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성과보상 체계를 점검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참석한 증권사 C레벨 임원들은 “전사적 모험자본 공급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겠다. 기업 생애주기별 투자 체계를 고도화하고 국민성장펀드를 통한 투자 참여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상품 구조 설명을 강화하고 내부통제를 철저히 준수하겠다”고 불완전판매 방지 의지를 강조했다.

금감원은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종투사들의 모험자본 공급·리스크 관리·소비자 보호 체계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업계 요청을 반영한 제도 개선을 순차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현재 IMA·발행어음 인가를 신청한 나머지 5개 종투사에 대한 심사도 이어갈 예정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