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폭탄…김동연-캐나다 대사 만남 이목

2025-02-02

미국의 관세 폭탄에 캐나다 주지사들이 대응에 나선 데 이어 한국의 대미수출에도 조치가 전망되며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주한 캐나다 대사의 만남에 이목이 쏠린다.

국내 최대 반도체 산업 지역 단체장이자 사실상 ‘경제 전권 대사’를 자처하고 있는 김 지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반대 기조를 견지해온 만큼 도 차원에서 강경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2일 경기신문 취재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키로 했다.

이에 캐나다도 한화 약 155조 6000억 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는 등 즉각 맞불을 놨다.

주지사들도 브리티시컬럼비아, 온타리오주 등은 미국 ‘레드스테이트(공화당 강세 지역)’ 생산 주류의 판매 중단을, 노바스코샤주는 미국산 상용차의 도로 통행료 2배 부과를 선언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달 2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다보스포럼에서 트럼프 1기 인사들과) ‘지금 트럼프는 캐나다, 중국, 멕시코가 우선순위고 한국은 그 다음으로 여러 가지 조치가 있을 것’이란 얘기를 나눴다”고 밝힌 바 있다.

국내 정치인 중 유일하게 스위스 다보스포럼(세계경제포럼)에 참석한 김 지사의 전언이 현실화되고 있는 셈이다.

때문에 오는 6일 타마라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와 만남에서 김 지사가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사실상 ‘경제 전권 대사’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김 지사가 한국에 대한 미국 정책 변화가 있을 경우 캐나다처럼 강경 대응에 나설 가능성도 존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전기자동차 의무 폐지, 무역협정 재검토 등 이미 한국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행정명령을 서명했다. 나아가 반도체 등 부문에 추가 관세를 매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경기도의 경우 국내 반도체 산업 활성화를 위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반도체 밸류체인 ▲반도체 생태계 조성 적극 투자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적잖은 영향이 예상된다.

이미 김 지사는 경제, 기후 등 다방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반대 기조를 보여 왔다.

김 지사의 대표정책 브랜드인 ‘기회소득’은 트럼프 대통령의 경쟁자였던 해리스 미국 대선 후보의 ‘기회경제(opportunity economy)’와 가까운 정책으로, ‘강자’ 중심 트럼프 대통령과 결이 다르다.

또 취임 후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를 선언한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김 지사는 꾸준히 RE100 비전을 실천하고 있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민 중심주의가 오히려 대선 승리의 비결이라는 평이 나오는 가운데 차기 대선주자로 꼽히는 김 지사가 경제 강대국에 대응해야 하는 국내 상황과 맞물려 선명한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앞서 김 지사는 “대한민국은 반도체 강국이고 그 중심에 경기도가 있다. 비록 지금 잠시 흔들리더라도 위기를 극복하고 도약할 수 있는 저력이 있다”며 “저는 도지사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