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조선업계, 대미 진출 가속
후판·도크·정치 변수는 부담
[서울=뉴스핌] 이찬우 기자 =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가 관세·현지화·방산을 한 묶음으로 결속하는 산업외교 패키지로 부상했다.
한국 조선업은 대미 교두보 확대라는 기회를 맞았지만, 미·중 전략경쟁과 정치 이벤트 변동성 그리고 미국 내 공급망 병목이라는 숙제를 동시에 안게 됐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는 APEC 외교 채널을 통해 조선·해운·방산 협력 프레임을 전면에 올려 관세 리스크 완화와 미국 내 생산·정비 기반 확충, 해군 지원함·함정 중심 협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27일 APEC CEO 서밋 '퓨처 테크 포럼'에서는 HD현대와 HII(헌팅턴 잉걸스)의 협력이 재확인됐고, AI·로보틱스·디지털 전환 기반 스마트야드와 무인수상정(USV) 등 차세대 분야를 축으로 미국 조선소 인수·합작 검토가 공개되며 기술동맹의 추진력도 커졌다.
HD현대는 미국 방산 업체 안두릴(Anduril)과 AI 기반 무인수상정 개발협약을 맺고 2027년쯤 한국과 미국 시장에서 시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더불어 정부는 MASGA 연계 관세·통상 아젠다를 전면화해 현지화 투자 지원, MRO 협업 촉진, 조선펀드 조성 등 실질 지원을 묶어 입찰 경쟁력을 뒷받침하고 있다.
현장의 변화도 감지된다. 한화오션은 필라델피아 조선소에 최소 7000만 달러를 투자해 연간 생산 능력을 1~1.5척에서 10척 수준으로 대폭 확대하며, 자동화 시설 및 스마트 시스템 도입을 가속하고 있다.
이 조선소는 미국 내 설계·건조·정비(MRO) 전 주기 거점으로 자리 잡으며 한화오션의 현지화 전략과 미국 내 기반 확충에 탄력을 더하고 있다. 국내 기자재 업체들도 보냉재, 연료탱크, 추진시스템 등 특수 분야에서 선행 수주가 재가동되는 분위기다.
2025년 둔화됐던 LNG선 발주는 2026년 대형 프로젝트 최종투자결정 재개 기대가 커지며 반등 시그널이 형성되는 분위기다.
하지만 리스크도 여전하다. 조선소가 필요로 하는 후판 공급 부족과 숙련 인력 부족은 생산 지연과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 조선소의 노후화된 시설과 제한된 도크 수는 함정 건조 역량을 제약하며, 한국 조선업체의 현지화 전략 실행에 현실적 장애물로 작용한다.
또 이벤트 의존형 기대는 실물 계약·투자 발표의 유무와 타이밍에 따라 기대–피로 사이클을 키울 수 있다. 특히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특유의 '속도감 있는 메시지'가 관세·조달 규범에 대한 해석 변화를 수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 발언이나 연설 한 문장이 '바이 아메리칸' 요건, 조달 우선순위, 관세 예외·적용 범위의 해석에 즉각적 신호로 작용해 발주·입찰 조건과 납기·원가 전제를 바꿔놓을 수 있다는 의미다.
뿐만 아니라 미·중 전략경쟁이 격화할 경우 외교·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도 커질 수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번 APEC 행사의 시작을 우리나라 조선업계 수장이 열었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며 "특히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방한한 만큼 국내 조선업계는 미국 시장 진출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chanw@newspim.com
![美日 희토류 신속대응팀 설립…전력·에너지에 5500억弗 쏟는다[美日 정상회담]](https://newsimg.sedaily.com/2025/10/28/2GZCS69W5S_1.jpg)
![[한미정상회담] 李대통령 "美 방위비 줄이기 위해 韓 방위비 확실히 증액"](https://img.newspim.com/news/2025/10/29/2510291427434140.jpg)
![中 견제 나선 美·日…희토류 동맹에 5500억弗 쏟아붓는다 [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671N7T_1.jpg)




![[속보]"MASGA. 보증도 포함으로 협의"](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8NZO3D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