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 고령화로 인해 농업 종사자가 줄고 있습니다. 적은 인구로도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마트농업으로 가야 합니다."
혼마 케스케 일본 농림수산성 기술정책실 과장보좌는 지난달 26일 농림수산성 정부 청사에서 진행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인구 감소와 농촌 고령화를 기술력으로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스마트농업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처럼 설명했다.
일본은 2013년 스마트농업 현실화를 위한 연구 조직을 설립하면서 스마트농업의 첫발을 뗐다. 2019년 실증 사업을 진행했고 현장 적용이 이뤄진 지는 6년째다. 현재 스마트농업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지역은 총 217개다. 적용 분야도 △드론 농약·비료 살포 △자율주행 트랙터 △원격 잔디 깎기 △운반 로봇 △논물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하다.
카야노 요시히로 농수성 연구추진과 과장보좌는 “스마트농업을 통해 노동시간 삭감, 농작물 생산량과 생산의 질 향상이라는 성과를 이뤘다”며 “농업 작업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숙련자와 동일한 작업이 가능해졌다는 것이 중요한 성과”라고 설명했다.
일본의 농업 인구는 2022년 기준 116만 명이다. 이 가운데 79.6%에 달하는 92만 6000명이 60대 이상이다. 혼마 과장보좌는 “20년 뒤 농업 인구는 현재의 4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1인당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마트농업의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 변화에도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환경 부하가 적은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스마트 농업의 한 분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양한 농업 주체와의 협력도 이뤄지고 있다. 서일본 중부 지역의 ‘일본농협(JA)니시미카와’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스마트농업 교육 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홋카이도의 ‘JA시카오이’는 양배추 수확 로봇을 통한 수확 대행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혼마 과장보좌는 “스마트농업 개발이 아직 실용화되지 않은 분야는 야채와 과수 등의 수확 분야”라며 “이 분야에 대한 집중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