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푸드 전도사’를 자처한 김혜경 여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첫날(31일) 열릴 영부인 주최 오찬에서 어떤 음식을 대접할까.
26일 복수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미쉐린 가이드 원스타’ 온지음 레스토랑의 조은희 수석 셰프가 경북 경주의 한 문화 공간에서 ‘한식 파인다이닝(Fine dining, 고급식사)’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한다.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온지음 레스토랑은 지난 3월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 2025’ 시상식에서 10위를 차지한 한식당이다. ‘바르고 온전하게(온) 짓다(지음)’이란 이름 아래 한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음식을 내고 있다. 국가무형유산 38호 궁중 음식 이수자인 조 수석 셰프는 한복려 궁중음식연구원장으로부터 요리를 사사한 뒤 연구원에서 한 원장의 조교를 지냈다. 한 원장이 2005년 부산 APEC 당시 권양숙 여사 주최 영부인 오찬을 자문한 지 20년 뒤 공교롭게도 그 제자가 이번 영부인 오찬을 책임지게 된 것이다.
김 여사의 최근 행보는 한식 세계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김 여사는 지난달 24일(현지시각) 방미 당시 뉴욕한국문화원에서 열린 K-푸드 현장간담회에 참석해 “전 세계에 한국 음식을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6일 방영된 JTBC ‘냉장고를 부탁해’에서도 “퓨전이 아닌 정통 한식이 글로벌에서 더 통한다”고 말했다.

조 수석 셰프 발탁은 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장인 김민석 국무총리가 발품을 판 결과였다. 지난달 김 총리는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과 최휘영 문화체육광광부 장관과 함께 온지음을 찾아 직접 음식을 맛봤다. 저작인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도 지방 곳곳의 식당을 소개할 정도로 미식가인 유 관장의 추천으로 이뤄진 방문이었다. 김 총리는 이후에도 경주에서 두 차례나 대통령실 관계자들과 함께 온지음 주관 현장 시식회를 진행했다. 김 총리는 지난 23일 경주에서 열린 출입기자 차담회에서 “소소한 섬세함까지 신경을 썼다”며 영부인 오찬을 “매력적인 디테일화”를 꾀한 사례로 거론했다.

실제 31일 영부인 오찬에선 쇠고기와 야채를 넣은 밀쌈말이와 석류탕(석류 모양으로 빚은 만둣국) 등 전통 한식 메뉴를 주제로 코스가 진행된 뒤 한국 전통을 살린 ‘반상’이 제공될 예정이라고 한다. 여권 관계자는 “알레르기 등 총 21개국 영부인의 특이식까지 일일이 신경을 써 상당히 품이 많이 들어간 것으로 안다”며 “퍼스트레이디들을 상대로 한식을 홍보할 매우 좋은 기회”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