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 돌봄 확대·스프링클러·안전교육 강화 방안 추진

정부가 최근 부산에서 잇따라 발생한 어린이 화재 참변과 관련해 4일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는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실질적 후속 조치와 종합대책 수립을 지시한 데 따른 조치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부산 아파트 화재 아동 사망 관련 긴급 대책회의’에서 “어린 생명을 지켜내지 못한 책임을 무겁게 느낀다”며 “생업으로 아이를 혼자 둘 수밖에 없는 부모를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윤 실장은 우선 저소득층이나 돌봄 수요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고, 특히 심야나 긴급 상황에 대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심야 돌봄 수요 조사를 거쳐 서비스 시간과 운영 기관을 늘릴 수 있도록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현재 지역아동센터 4천여 곳 중 약 344곳에서 오후 8시 이후 연장 돌봄을 시범 운영 중인데, 이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윤 실장은 이번 사고들이 2005년 이전에 지어진 스프링클러 미설치 아파트에서 발생한 점을 언급하며, 스프링클러가 없는 건물의 화재 초기 대응책과 어린이·노약자 대피 방안을 중점적으로 마련하겠다고 했다.
또한 스프링클러가 없는 전국 2만4천여 단지의 안전 실태를 전수 점검하고, 기술적·재정적 가능성을 따져 사후 설치 여부를 전문가와 함께 검토해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화재 초기 진화와 대피를 돕는 시설을 정부가 직접 지원하는 방안도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윤 실장은 “어린이 대상 화재 안전·대피 교육을 강화해 여름방학 전까지 초등 저학년을 중심으로 소방관이 학교에 찾아가는 교육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전국매일신문] 방지혜기자
BangG@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