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핌] 양진영 기자 =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란의 자파르 파나히 감독이 "어떻게 해서든 영화를 만들어낼 방법을 찾을 것"이라며 독립영화 제작자들의 연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18일 부산 영화의전당 비프힐 기자회견장에서 갈라 프레젠테이션에 초청된 영화 '그저 사고였을 뿐'의 자파르 파나히 감독의 간담회가 진행됐다.
자파르 파나히 감독은 이번 영화제에서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과 더불어 내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 프랑스 영화 출품작으로 선정됐다는 낭보를 전했다. 그의 영화 '그저 사고였을 뿐'은 지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자파르 감독은 "사실 아카데미에 있어서 국제섹션에 출품에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국제영화제에 작품을 보낼 때 정부의 허가를 받는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아카데미에 한해서는 우리가 영화를 출품할 때 허가를 정부 당국으로부터 받아야 했다. 이런 문제가 있어서 이란, 중국에서는 출품이 어려운 점도 있다"고 관련해서 설명했다.
이어 "제가 생각하기에 아카데미는 현재 영화 제작자가 이것을 정부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방법을 찾고 있는 것 같다. 이 영화 같은 경우엔 이란에서 들어오는 게 아니고 프랑스와 공동제작된 영화라서 아카데미에 출품할 수 있었다"고 아카데미 출품 비화를 얘기했다.
또 "2006년에 오프 사이드란 영화를 만들었는데 소니 픽처스가 제작했고 아카데미에 출품하고 싶어했다. 당시 자국에 먼저 상영돼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서 소니 픽처스가 출품을 포기한 일도 있었다. 저같은 독립적 영화 제작자들은 함께 연대해서 아카데미 출품 문제에 직면하지 않도록 힘을 모을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바람을 얘기했다.

자파르 감독은 1996년 칸 영화제에서 '하얀 풍선'으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후 제 1회 부산국제영화제 초청됐고 이후 총 6차례 한국을 방문하며 아시아영화인들과 교류를 이어왔다. 당시 인연을 맺은 고 김지석 프로그래머가 작고한 뒤, 이번에 그의 묘지를 찾아간 일화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그동안은 제가 출국금지를 받았었기 때문에 부산에 오는 게 힘들었다. 특히 김지석 프로그래머가 계실 땐 항상 이란 영화를 너무 좋아해주셨다. 제가 출국금지로 이란을 떠날 수 없을 때도 저를 방문해주셨고 한국에 초청받았을 때 가장 먼저 기억나는 사람이 김지석 프로그래머였다. 김 프로듀서는 이란에 와서 저희 집까지 방문하셨었다. 한국에서 다시 뵙자는 얘길 나눴는데 그러지 못했다. 이번 기회에 김지석 프로그래머를 가서 뵈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고인과 나눈 우정과 인연을 소개했다.
17년간 본국에서 구금 생활을 한 자파르 감독은 "바라건대 저도 다시 자주 와서 제 아내와 함께 한국을 돌아보고 많은 분들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한국의 해산물과 한국 음식 때문에 다시 한 번 꼭 오고싶다"고 말했다.
특히 자파르 감독은 스스로를 "사회적인 영화제작자"라며 "20년간 영화제작 금지 처분을 받았었는데 그래서 스스로 카메라 앞에 섰던 경험도 있다. 영화를 만들지 말라고 해서 제가 집 안에서 혼자서라도 만들겠다는 의지가 있었다. 영화 제작 말고 다른 것을 할 수 있을까. 택시 운전을 할 수 있겠지 생각했고 그 안에서 카메라를 숨겨서 찍을 수 있지 않을까 그런식으로라도 창작을 하지 않을까 생각했고 그 아이디어로 택시라는 영화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떻게 하면 영화를 만들 수 있을까 생각한 것이 스스로 영화에 등장하는 것이 방법이란 결론에 이르렀다.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그 누구도 영화 제작을 막을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 영화 제작자들은 어떻게 해서든 영화를 만들어낼 방법을 찾을 것이고 저도 그 방법을 찾아냈었다"고 힘 주어 말했다.
자파르 파나히 감독은 베니스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 '써클'(2002), 베를린국제영화제 황금곰상 '택시'(2015)에 이어 '그저 사고였을 뿐'(2025)으로 2025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으며 세계 3대 영화제를 모두 석권했다. '그저 사고였을 뿐'은 부산국제영화제 갈라 프레젠테이션 부문에 초청돼 상영되며, 10월 1일 국내 개봉을 앞두고 있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