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력으로 따진 한국 원화의 실질 가치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추락했다.
1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원화의 실질실효환율(2020년=100)은 90.57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달러당 원화값이 1480원 선으로 급락했을 당시 수치(90.97)보다 더 내렸다. 연간 평균으로 보면 올해 1~9월 기준 90.87로, 금융위기 충격이 컸던 2009년(86.96) 이후 가장 낮다.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이었던 2022년(94.88)보다도 밑이다.

실질실효환율은 세계 60개국 화폐가 교역 상대국과 비교해 실질적으로 얼마만큼 가치를 갖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환율 변동뿐 아니라 국가 간 물가 차이, 교역 비중 등을 반영해 각국 통화의 구매력을 나타낸다. 기준치인 100보다 밑이면 해당 통화의 구매력이 기준 시점(2020년) 당시의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는 뜻이다.
‘빅맥지수’로 비교한 원화 가치도 마찬가지다. 지난 7월 기준 한국 빅맥지수는 3.84달러로, 미국(5.79달러)보다 33.6% 낮게 평가됐다. 저평가 폭은 조사가 시작된 2000년 4월 이래 가장 컸다. 영국 경제지 이코노미스트는 각국 맥도날드 매장에서 팔리는 빅맥 가격을 미국의 달러화로 환산해 발표하고 있다.

원화 가치가 내려가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와 국내 수입업체의 달러 수요, 외국인의 국내 증권 순매도 등이 맞물렸다. 근본적으로는 2022년 이후 이어지고 있는 한·미 금리 역전(미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은 현상), 정부의 확장 재정에 따른 유동성 증가 등도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 관세정책과 관련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불확실성,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불확실성 역시 원화 약세를 부추기는 요소다.
과거엔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수출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경상·무역수지 흑자로 이어지는 효과가 났다. 하지만 많은 기업이 각종 원자재를 해외에서 들여와 가공해 수출하는 등 한층 복잡해진 현재 한국 산업구조에선 더 이상 통하지 않는 공식이다. 오히려 해외 수입제품의 가격 상승을 부추겨, 국내 물가를 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장기 균형 환율 수준을 호전시키기 위해선 수출 호조세를 이어가며 세제를 비롯해 국내 기업 투자를 늘릴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주춘렬 칼럼] 韓·美 관세협상의 그늘](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20251117516911.jpg)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번복에…엔켐 12% 급락 [이런국장 저런주식]](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MCEWQD_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