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마다 4월 하순이 되면 사이구(4.29) 폭동의 악몽이 검은 연기처럼 스멀스멀 되살아난다. 타오르는 불길과 시커먼 연기, 약탈자들의 난동, 부자동네만 지키는 경찰, 이른바 지붕 위의 총 든 사나이들, 그리고 평화의 대행진….
미주 한인 이민역사에서 가장 상징적이고 중요한 의미를 갖는 사건의 기억이다. 올해는 한층 더 아프게 되살아나는 것 같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노골적 백인우월주의, 인종차별로 이어질 위험이 큰 불법체류자 단속과 추방 때문이다.
다인종 다문화 사회인 미국의 화약고인 인종 갈등, 그것이 화산처럼 폭발한 사이구는 이민 예술작품의 중요한 소재이기도 했다. 폭동을 다룬 많은 글과 연극, 영화 등이 발표되었다. 폭동 30주년이었던 지난 2022년에는 미주한국문인협회와 LA한국문화원이 힘을 모아 사이구 폭동 주제 문학작품을 묶은 〈흉터 위에 핀 꽃〉이라는 제목의 두툼한 책을 낼 정도였다.
이렇게 많은 문학작품 중 가장 빼어난 작품을 꼽는다면, 나는 개인적으로 고원 시인의 시를 꼽고 싶다. 고원 시인의 〈검은 눈물로 거듭나〉, 〈L.A. 애가(哀歌)〉, 〈빛깔이 많은 노래〉와 〈줄넘기〉 등의 작품들은 단연 돋보인다. 사건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헤치는 예리한 시각, 절제되고 울림이 큰 시어(詩語)와 품격이 조화를 이룬 예술성으로 긴 생명력을 갖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폭동의 빌미가 된 두순자 사건을 주제로 한 〈검은 눈물로 거듭나〉는 1992년 2월에 발표된 작품으로, 다인종 다문화 사회인 아메리카 합중국의 구조적 갈등을 고발한다. 다섯 토막으로 구성된 ‘짧은 서사시’인 이 작품에서 시인은 비극적인 총격 사건을 통해 한국 여인, 이민자의 갈등과 한을 안타깝게 노래하며, ‘눈물로 비는’ 모습으로 화해와 용서를 호소한다. 이 시는 영문으로 L.A.의 한인/흑인 시인 합동 시낭송회에서 시인 자신이 낭독한 바 있다.
폭동 현장을 생생하게 묘사한 〈L.A. 애가(哀歌)〉는 1992년 5월, 그러니까 폭동 바로 직후에 쓴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노의 아우성이나 생경한 구호에 그치지 않고, 절제된 언어로 구원과 희망을 노래한다.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 불바다와 잿더미 속에서도 ‘서로의 눈을 간절히 보라’고 호소하며, 폭동의 유일한 사망자인 이재성 군을 통해 한인사회의 단결과 희망을 역설하고, 교포들이 자발적으로 펼친 추모의 평화행진에서 희망을 읽는다.
이 작품은 꽤 큰 규모의 서사시로 시극(詩劇)으로 공연해도 전혀 무리가 없고, 장엄한 칸타타의 가사로 쓰여도 좋을 탄탄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에 비해 폭동 1주년에 발표한 시 〈빛깔이 많은 노래〉와 〈줄넘기〉는 마치 순수한 동시나 어린이 그림을 연상시키는 작품이다. 아름다운 빛깔의 무지개와 어린이들의 즐거운 놀이인 줄넘기를 통해 상처의 치유와 화합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이 시는 소박하지만 강한 힘을 지니고 있다. 다양함의 아름다움과 놀이를 현실 극복의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폭동의 원인, 실상, 극복의 지혜를 노래한 이 작품은 미주 한인이민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기념비적 작품으로 평가된다.
고원 시인은 1925년 12월 8일, 충청북도 영동에서 태어났다. 올해 탄신 100주년이 된다는 이야기다. 이를 축하하고 기념하여, 남가주 한인문단에서 이런저런 행사가 준비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
한국에서는 문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문학행사가 흔히 열리고 있지만, 미주에서는 처음이라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 세기의 세월 동안 시인의 시 세계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특히 디아스포라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어떻게 세우고 지켜 왔는지, 긴 세월 꾸준히 뿌려온 씨앗이 어떤 열매를 맺고 있는지 등을 종합적이고 폭넓게 고찰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 되살핌은 오늘날 우리의 사회에 직접적인 교훈이 될 것이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