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수 국회의원, MBK 면피성 대책만...실질적 자구노력 부족

2025-10-15

MBK 홈플러스 정상화 방안 비판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국회의원은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한 책임을 회피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자구 노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MBK가 지난달 24일 발표한 2천억 원 무상 증여 등의 대책이 지원 주체와 시기, 방식과 조건이 빠져 있어 구체성이 부족하고, 사실상 면피성 발표에 그쳤다고 비판했다.

현재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최소 5천억~7천억 원이 필요한 상황에서 MBK는 턱없이 부족한 2천억 원 무상 증여만을 공언하고 있으며, 이행 계획도 공개되지 않아 불투명한 상황이다. 또한, MBK가 발표한 ‘2조 5천억 원 규모의 보통주 무상 소각’과 이미 집행된 ‘2천억 원 재정 지원’은 보여주기식 조치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삼일회계법인의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는 2조 5천58억9천200만 원으로, 총 부채 2조8천969억8천300만 원을 밑돌아 보통주 가치가 사실상 소멸한 상태다. 가치가 없는 지분의 무상 소각은 실질적인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이해관계자들을 무시한 결정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MBK가 주장하는 ‘3천억 원 재정 지원’ 역시 실체가 빈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병주 회장의 개인 증여 약 400억 원과 임원의 연대보증 780억 원 외에는 회생 신청 이전 홈플러스의 증권사 대출에 대한 연대보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신규 현금 투입과는 거리가 먼 내역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현재 홈플러스는 자금난으로 일부 매장이 단전 위험에 처하고, 상품 공급에도 차질을 겪고 있으며 경영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10월 이후 상품 부족과 매출 급감, 폐점 지연 등으로 현금 흐름이 추가로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 의원은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한 정책금융의 자금 지원도, 인수자 유치도 김병주 회장의 결단이 선행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며 "M&A 절차가 완료되기 전까지 필요한 5천~7천억 원 규모의 사재 출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국매일신문] 맹창수기자

mchs@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