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 배송 물량 50% 감축
'양보다 질' 이익률 개선에 무게
3Q 어닝에서 가시적인 성과
이 기사는 11월 5일 오후 3시1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수 년간 추세적인 주가 하락을 연출하는 미국 택배 업체 UPS(UPS)가 바닥을 쳤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고강도 구조조정과 사업 재편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분기 월가의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올린 데다 7%에 가까운 배당 수익률을 외면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여전히 매출액과 이익 감소가 지속되고 있지만 대대적인 비용 절감에 따라 잉여현금흐름(FCF)이 크게 개선되는 등 턴어라운드 신호가 포착되기 시작했다고 월가는 판단한다.
UPS의 경영진이 추진하는 사업 구조 재편은 물량에서 이익률로 무게 중심을 옮기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업체는 연초부터 아마존(AMZN)에 대한 매출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 양보다 질에 중점을 두는 비즈니스 구조를 세우기 위한 전략적인 결정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은 UPS의 최대 고객이다. 하지만 이익률이 가장 높은 고객은 아니다. 고객들 가운데 가장 많은 일감을 제공하지만 실속은 낮다는 얘기다. UPS는 2026년 말까지 아마존의 배송 물량을 50% 이상 줄이기로 했다.
아마존이 2024년 기준 UPS의 전체 배송량의 25% 및 매출의 11% 이상을 차지했기 때문에 배송 물량을 절반 이상 줄일 때 단기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UPS는 이익률이 높은 고객의 비중을 높이는 전략을 통해 궁극적으로 매출 성장과 함께 수익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사업 구조 개편과 함께 업체는 강도 높은 비용 감축에 돌입했다. 보도에 따르면 2025년 말까지 35억달러의 비용을 줄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경영진은 93개 건물을 폐쇄하는 한편 4만8000명에 달하는 인력을 감원하기로 했다. 대규모 감원을 통해 인건비를 줄이고 물류 센터의 자동화를 통해 펀더멘털을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실제로 업체는 구조조정을 통해 3분기까지 22억달러의 비용 절감을 달성했다.
턴어라운드를 위한 전방위적인 전략은 가시적인 효과를 내기 시작했다. 3분기 미국의 배송 건당 매출액이 9.8% 성장했다고 업체의 경영진은 발표했다. 여기에 비용 절감이 맞물리면서 미국의 영업이익률이 6.3%에서 6.4%로 상승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UPS는 3분기 214억2000만달러의 매출액을 올렸다. 이는 전년 동기에 비해 3.73%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3억1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81% 감소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 역시 13.89% 감소한 1.74달러로 집계됐다.
3분기 실적이 1년 전에 비해 위축됐지만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월가의 예상치인 1.32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매출액 역시 월가의 예상치를 넘어섰다.
밀러 타박은 보고서를 내고 "이번 실적은 정확히 UPS에 필요한 것"이라며 "지난 수 년간 주가 하락을 연출한 UPS가 마침내 상승 모멘텀을 얻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업체는 4분기 매출액 전망치를 240억달러로 제시했다. 이 역시 투자은행(IB) 업계의 예상치를 웃도는 수치다.
아마존 배송 물량을 절반 이상 축소한 데 따른 타격이 앞으로 1년 가량 이어질 수 있다고 경영진은 밝혔다. 하지만 이는 중장기 성장과 수익성 강화를 위한 일보 후퇴라는 설명이다.
주요 외신들은 감원을 통한 비용 절감이 매출 타격을 상당 부분 상쇄할 것으로 예상한다. 1~9월 22억달의 비용을 절감한 데 이어 연말까지 35억달러를 감축하는 데 성공할 경우 수익성 개선 효과가 작지 않다는 판단이다.
현금흐름의 개선도 월가가 커다란 의미를 두는 대목이다. UPS가 대대적인 구조조정과 사업 재편 계획을 발표했을 때 상당수의 투자자들은 배당 지속 여부를 우려했다. 수익성과 현금흐름이 악화될 경우 배당이 줄어들거나 일정 기간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었다.
실제로 영업 활동을 통한 업체의 현금흐름은 상반기 27억달러에 그쳤고, 자본 지출 후 잉여현금흐름(FCF)은 7억5000만달러를 밑돌았다. 이는 27억달러의 배당금 지급액과 1분기 10억달러의 자사주 매입을 포함해 주주 환원에 필요한 유동성을 충당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다.
올들어 UPS의 현금흐름은 2024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업체는 101억달러의 영업현금흐름과 62억달러의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했다. 54억달러의 배당금 지급을 위한 현금흐름을 충분하게 확보한 셈이다.
하지만 올들어 업체는 현금흐름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 대차대조표를 활용해야 했다. 이에 따라 장기 부채 및 금융 리스가 지난해 말 약 195억달러에서 2025년 3분기 말 238억달러로 늘어났고, 현금 및 유가증권은 두 기간 모두 약 63억달러 선에서 유지됐다.
부채 규모가 상승했지만 UPS의 회사채 등급은 A 및 A2로 투자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월가가 긍정적으로 보는 대목은 비용 절감 계획이 성과를 내기 시작하면서 3분기 현금흐름의 개선됐다는 점이다.
3분기 업체는 24억달러의 영업현금흐름과 약 20억달러의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했다. 2분기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주주 환원에 필요한 목표액까지 격차를 좁혔다.
경영진은 부동산 자산을 일부 매각, 현금화하는 방향으로 대차대조표를 일정 부분 강화했다. 보도에 따르면 업체는 5개 부동산 자산을 매각 후 리스하는 내용을 골자로 거래를 체결했다.
현금흐름의 개선과 자산 매각이 맞물리면서 UPS의 3분기 말 현금 자산 규모가 67억달러로 증가했다. 4분기에도 업체는 추가적인 비용 절감을 실시할 계획이고, 자본 수요를 충당한 후 50억달러의 현금 자산으로 한 해를 마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UPS의 현금흐름이 2026년에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업체가 주주 배당을 지속하는 데 더 나은 여건을 갖추게 된다는 의미다. 아마존 배송 물량 축소로 인해 재무 건전성이 크게 악화되는 상황이 아니라면 배당 지급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른바 고마진 고객의 비중을 확대한다는 전략이 가시적인 성과를 낼 경우 UPS의 주주 환원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다만, 3분기 실적 개선에 대한 과대평가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시버트 파이낸셜의 마크 말렉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3분기 실적이 호조를 이뤘다"며 "하지만 단 한 번의 홈런으로 거대한 기업의 턴어라운드를 완성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관세 후폭풍과 인공지능(AI) 기술을 근간으로 한 공급망 최적화 움직임이 앞으로 UPS가 넘어야 할 산이라고 그는 전했다.
shhwang@newspim.com

![“3분기 컨센 37% 하회”…삼성·NH證, 호텔신라 목표가 하향[줍줍 리포트]](https://newsimg.sedaily.com/2025/11/05/2H0C47T3HV_3.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