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 시스템 대구로”…국정자원 화재 피해 복구율 50% 돌파

2025-10-20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센터 등 가동이 멈춘 정부 주요 시스템이 이번 주 복구될 예정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기준 709개 정부 행정 시스템 중 52.9%인 375개 시스템을 복구했다. 이날 행정안전부 민원서비스종합평가와 국가데이터처 EA/PMS관리시스템 등 2개의 시스템을 복구해 총 709개의 정부 전산시스템 중 375개를 복구했다. 복구율은 52.9%로 50%를 넘어섰다.

1등급 시스템은 40개 중 31개(77.5%), 2등급은 68개 중 44개(64.7%)가 각각 복구를 마쳤다. 3등급은 261개 중 153개(58.6%), 4등급은 340개 중 147개(43.2%)를 각각 복구한 상황이다.

국정자원 화재 중대본 브리핑

중대본은 이번 주 중으로 86개 시스템을 추가로 복구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김민재 제1차장은 “1등급 시스템인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를 비롯해 국가보훈부 통합보훈정보시스템 등을 이번 주에 추가로 복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은 이용자수·파급효과 등에 따라 1~4등급으로 분류하는데 1등급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시스템이다.

중대본은 장애 시스템을국정자원 대전센터 내에 복구하는 방안과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재설치하는 두 가지 방안을 추진 중이다.

아직 복구하지 못한 33개 1·2등급 시스템은 모두 대체 사이트, 임시 홈페이지, 수기 접수·처리 등을 통한 대안을 마련·운영하고 있다. 230개 광역·기초 지자체가 이와 관련한 온라인 상담창구를 운영 중이다. 나머지 6개 지자체는 이번 주 초에 ‘새올전자민원창구’에서 민원 서비스를 시작하고, 온라인 민원 건수가 낮은 9개 지자체는 수기 처리 방식으로 운영한다.

이번주 장애시스템 86개 복구

대전센터에서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을 확정한 시스템도 공개했다.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인 행정처분시스템’과 소방청 ‘소방예방정보시스템’ 등 16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7일 복지부·소방청·기후에너지부 등 대구센터 이전 대상 기관 4곳과 협의회를 개최해 이전을 위한 협조 사항을 논의했다.

김 차관은 “시스템·인프라 이전을 안정적으로 진행하도록 이전기관과 민간 클라우드사 간 협의를 지속하겠다”며 “업무 이전에 따른 대전센터와 대구센터 간 네트워크 증설 등 세부 검토 사항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