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9개 시스템 중 373개 복구
보건·복지·소방 등 핵심 기능 정상화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된 행정 정보망 복구 작업에서 전체 시스템의 절반 이상을 회복하며 본격적인 안정화 단계에 진입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정부 행정 정보 시스템 복구율이 50%를 넘어 점진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며 “국민 불편이 조속히 해소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으로 총 709개 정부 행정 시스템 중 373개(52.6%)가 정상화됐다. 특히 국민 생활과 직접 연결되는 1·2등급 주요 시스템 복구율이 각각 77.5%, 64.7%에 달했다.
윤 본부장은 “보건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종합관리시스템’이 복구되면서 장기이식 환자의 수술 일정과 혈액 공급 관리가 정상화됐고, 내일부터는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복구로 온라인 화장장 예약도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긴급 구조와 재난 현장 대응을 담당하는 소방청의 ‘구조·생활안전활동정보시스템’도 복구를 마쳐 현장 대응 공백이 해소됐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번 주 내에 60% 이상 복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민 불편이 컸던 민원·복지 분야 시스템부터 순차적으로 복원할 계획이다. 윤 본부장은 “남은 시스템들도 데이터 복구와 보안 점검을 병행하면서 안전하게 정상화하겠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 국가 주요 행정 서버의 이중화와 백업 체계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재난 대응 매뉴얼과 보안 프로토콜을 전면 점검하고, 국가 행정망의 분산형 백업체계 구축 및 클라우드 전환을 조속히 추진할 방침이다.
[전국매일신문] 방지혜기자
BangG@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