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생 저자, 은퇴 앞두고 삶 정리하며 펴내
진지함과 유머 공존하는 55편의 에세이 수록

정제된 문장과 깊은 감각으로 시대를 응시하는 김태익 수필가가 시적 상상력으로 쓴 에세이 <당신이 사라지는 속도>(움직이는 책)를 출간했다. 어릴 적 시골집에 대한 정취, 성장 과정의 추억, 회사 생활에서도 잃지 않았던 마음의 여유가 차분한 문장으로 녹아 있다.
1960년생 저자는 전형적인 베이비붐 세대다. 시골 마을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성인이 된 이후는 대도시라는 경쟁 사회에서 각박한 삶을 살았다. 이번 에세이는 성장 일변도의 대한민국 사회에서 산업역군으로 살아온 저자가 은퇴를 앞두고 자신의 삶을 정리하며 펴낸 책이다.
‘김태익의 인생을 응축한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이번 에세이집은 내용 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저자는 부모의 사랑을 받으면서 자라왔던 지난날을 돌이켜보고 자식을 키우던 마음과 겹쳐본다. 돌아가신 부모님에 대한 기억은 조금씩 희미해졌지만, 자신에게 베풀어준 마음을 조금씩 이해한다. 옛것들에 대한 그리움이 문장 구석구석에 묻어 있다.
“나무는 늙어도 제목으로 쓰이지만, 사람은 늙으면 쓸모가 없다고 하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처음엔 너무 가혹하게 느껴졌지만, 세월이 지나며 문득 그 말 속에 숨은 씁쓸한 진실을 마주하게 된다. 나이 든다는 건, 단순히 나이만 먹는 일이 아니다. 고집은 세지고, 마음은 닫히고 변화엔 둔감해지고 남의 말은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 그렇게 어느 날 ‘꼰대’라는 말 앞에 자신이 서 있다”(P.133)
총 55편의 에세이가 실린 책은 긴 세월을 힘껏 사랑함으로써 세상의 고통을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내는 수필가의 다짐을 엿볼 수 있다. 지나가 버린 세월의 야속함보다는 애정 어린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잊고 있던 고향과 가족 친구들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진지함과 유머가 공존하는 작가의 글은 어느 부분에서는 박장대소를, 어떤 부분에서는 하염없는 눈물을 경험하게 한다. 그래서 맑아진 마음을 마주하는 특별함을 선사한다.
길상호 시인은 책 서평을 통해 “이 책에는 사라진 것을 환생시키는 마술이 감춰져 있다. 도시 불빛에 가렸던 별들이 다시 반짝이기 시작하고 쫓겨났던 개구리가 돌아와 합창한다”며 “작가는 앞서 간 발자국을 잊지 않는다. 그것을 자신의 궤적으로 만들면서 또 다른 길을 낸다”고 밝혔다.
완주에서 태어난 시인은 전북대학교와 한양대학교에서 토목을 전공했다. 현재는 서울에 거주하며 글을 쓰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태익 #당신이 사라지는 속도 #에세이집 #책
박은 parkeun90@naver.com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