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전성 위기에 놓인 롯데손해보험이 구체적인 자본확충 계획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롯데손보 최대주주 빅튜라는 채권단의 기한이익상실(EOD) 발동을 우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달 중 안건소위원회를 열고 다음달 정례회의를 통해 롯데손보에 대한 적기시정조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최근 롯데손보 건전성비율(지급여력·K-ICS비율)이 급격히 악화됐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예외모형을 적용한 롯데손보 건전성비율은 119.9%로 작년 말(154.6%) 대비 크게 악화된 상태다. 타 보험사와 동일한 기준(표준모형)에선 건전성비율이 94.8%를 기록해 보험업법상 허용되는 최소치(10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업계는 최근 롯데손보 건전성 하락이 최대주주 빅튜라의 주식담보대출 계약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빅튜라는 작년 10월 신한·농협은행 등과 주식근질권설정 계약을 맺고 롯데손보 보통주 약 2억3908만주를 담보로 4605억원을 조달한 바 있다.
계약엔 롯데손보 지급여력비율이 특정 시점에 125%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채권단이 원리금 상환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한 EOD 조항이 포함됐다. 롯데손보 지급여력비율(119.9%)은 이미 이를 밑돌고 있다.
롯데손보 건전성 악화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고 판단할 경우, 채권단은 향후 빅튜라에 원금 상환을 요구할 수 있다. 롯데손보와 채권단은 계약상 비밀유지협약(NDA)에 따라 명확한 EOD 성립 요건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통상 인수금융이나 회사채, 주식담보대출에서 EOD는 재무약정 불충족 시 발생할 수 있다”면서도 “기술적으로 EOD가 성립된 이후에도 치유 기간이 존재할 수 있어 즉시 EOD가 확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문제는 롯데손보가 뚜렷한 건전성 개선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롯데손보는 이달 안건소위에 앞서 금융위원회에 하반기 자본확충 계획안을 제시했으나, 유상증자 규모나 주체 등 구체적인 계획이 담기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사모펀드가 대주주이다 보니, 증자를 통한 자본확충이 어려운 상황으로 해석된다.
최근 롯데손보 건전성 악화가 경영권 매각을 추진중인 빅튜라 입장에서 뼈아프다는 평가가 나온다. 매각 과정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증자 없이 단기간에 롯데손보 건전성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면서 “경영 정상화가 어려운 상황인 만큼 매각도 요원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지난 5월 롯데손보 경영실태평가 결과로 종합등급 3등급(보통), 자본적정성 잠정 4등급(취약)을 결정했다. 해당 결과가 금융위 정례회의에서 확정되면 롯데손보는 적기시정조치중 가장 낮은 단계인 경영개선권고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진혁 기자 s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