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지에이-모빌로보틱스, 휴머노이드 확장 전원 솔루션 특허 출원

2025-08-05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케이지에이는 휴머노이드 확장 전원 솔루션 사업을 공동 전개 중인 '모빌로보틱스'가 '바디일체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특허 출원을 완료하고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양사가 개발 중인 '확장형 전원 솔루션'은 기존 단일 배터리 기반 구동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개념 배터리 폼팩터다. 휴머노이드를 비롯한 첨단 로봇 분야와 드론, 도심항공교통(UAM)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케이지에이와 모빌로보틱스는 리튬이온 배터리 기반의 'FIB(Frame Integrated Lithium Ion Battery)'와 전고체 배터리가 적용된 'FIS(Frame Integrated Solid-state Battery)' 등 총 두 가지 타입의 확장 전원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모빌로보틱스는 이번 특허를 포함해 총 9건의 관련 특허를 출원해 놓은 상태다.

특허가 등록되면 원통형, 파우치형, 각형 등 기존 전통적 폼팩터와 차별화된 새로운 유형의 배터리 시장에서 선도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양사는 기대하고 있다. FIB/FIS는 3D 설계 방식을 적용한 맞춤형 구조로 제작돼 다양한 종류의 휴머노이드 외피(보호커버)는 물론 드론과 UAM의 도어, 날개 부위 또한 전원 공급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케이지에이 관계자는 "확장 전원 솔루션 사업과 관련해 당사와 모빌로보틱스는 공고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며 "모빌로보틱스는 기술 개발을, 케이지에이는 양산 기술 확보 및 네트워크 확대를 전문적으로 담당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양사는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서 신시장 개척에 적극 힘쓸 것"이라며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다양한 휴머노이드·모빌리티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기술 경쟁력을 더욱 끌어올리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달 진행된 '미국 정부예산조정법안(OBBBA) 및 비자 대응 전략 설명회'에 따르면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로 배터리 업황 회복이 주춤한 가운데 방산(드론용 고성능 배터리), 휴머노이드,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배터리 산업의 신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꼽혔다.

nylee5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