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공정한 거래 구조, ‘정액수수료’ 비중 높여 납품업체 부담 가중

홈쇼핑 업계가 상생을 내세우면서도, 실제로는 판매 위험을 납품업체에 전가하고 자신들은 안정적인 수익만 보장받는 불공정한 거래 구조를 고착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이양수 의원(국민의힘, 강원 속초·인제·고성·양양)이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주요 홈쇼핑사의 수수료 총액 대비 정액수수료 비중은 GS SHOP이 47.5%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이어 NS쇼핑 44.6%, CJ온스타일 40.9%, 현대홈쇼핑 34.9%, 롯데홈쇼핑 30.4% 등이 정액수수료 비중을 유지하고 있었다.
정액수수료는 판매 실적과 무관하게 일정 금액을 홈쇼핑사가 확보하는 구조로, 판매 부진에도 홈쇼핑사는 손실이 없고, 그 대신 납품업체가 재고, 반품, 물류비 등의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 이는 특히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 제조업체들에게 큰 부담을 안겨주며, 홈쇼핑 납품이 ‘적자 사업’으로 전락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 구조는 홈쇼핑이 본래 의도했던 중소기업 판로 지원이라는 공익적 기능을 약화시키며, 대형 홈쇼핑사들이 ‘플랫폼 사업자’로 변질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홈쇼핑사들이 매출 부진에도 고정 수익을 확보할 수 있어, 납품업체들은 판매 실적과 관계없이 계속적인 부담을 지게 된다.
이양수 의원은 “납품업체가 과도한 부담을 지는 거래 관행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며, “공정거래위원회는 홈쇼핑 거래 구조를 면밀히 점검하고 공정한 유통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매일신문] 윤택훈기자
younth@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독] 차액가맹금 업체별 천차만별...매출 16% 떼가는 곳도 있었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8/ed33f8b5-2902-4ef3-ba77-42eaadd0443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