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드라이브에 '우크라이나-러시아' 간 종전협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를 시발점으로 '상처뿐인 전쟁'에 종지부를 찍을지에 주목된다.
그러나 전쟁 피해자격인 우크라이나 당사국을 제쳐놓고 미러 양국의 종전협상에 유럽국가 대부분이 냉소적인 자세다.
영토 확장의 야욕을 드러내며 전쟁을 야기한 러시아 가해자를 아무런 책임도 묻지 않고 용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트럼프가 내세우는 우크라-러시아 종전 진짜 목적은 무엇일까. 그는 세계 평화라는 이면엔 미국의 경제적 손실과 그동안의 막대한 자금을 회복하기 위한 우크라 재건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그동안 퍼 주었던 우크라 방위 지원금에 대한 주판을 튕겨본 결과, 우크라 재건에서 얻어낼 수 있다는 계산을 이미 끝낸 것 같다.
이는 종전협상 평가의 결실과 차후 미국 이익창구로 활용하는 양수겸장(兩手兼將)의 수라고 해석된다.
장사꾼다운 경제대통령의 트럼프 모습이다.
그는 우크라 전쟁에 투자한 미국 자본을 어떻게 환원(?)받을까에 종전으로 우크라 재건 속 경제적 이윤을 찾아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종전 미국의 정치는 세계질서 재편에 민주주의 성지인 미국이 앞장서는 정책이었던 것이라면, 트럼프 정권 후 철저한 자국 보호의 이익주의로 선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공산 사회주의에 무조건 대항하던 미국에서 탈피, 경제적 측면을 우선하는 정책으로 전화하는 분위기다.
특히 트럼프 식 국정운영의 기본에는 첫 번째가 경제논리에 우선하다는 원칙이 세워져 있다.
이는 남북 한반도 문제에도 영향을 미쳐 김정은 위원장하고도 언제든 북핵을 둘러싼 경제적 가치의 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는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
쉽게 말해 북한을 핵 보유 국가로 인장해주고, 대신 미국을 취할 수 있 직 간접적 이득을 취하겠다는 의도로 분석된다.
즉 적과의 동침 속 국방과 경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트럼프 식' 정책이다.
그러나 러시아, 북한 중국 등은 한국과 일본 등 환태평양 지역을 장악하는 속칭 공산사회주의 3국 연대가 차후 불러올 세계적인 재앙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 3국의 공통점은 막무가내 영토 확장을 위해 핵을 무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국가란 점이다. 이들 3국이 공조할 경우 세계 평화질서가 깨지는 한편. 제3차 대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앞선다.
눈 앞의 이윤을 쫓는 트럼프 식 운영이 가져다 줄 변수는 생각보다 엄청난 후유증으로 후폭풍을 겪을지 우려되는 게 사실이다.
충동적인 트럼프 식 경제논리 이윤 잣대에 과연 동맹국과 나토 참여 유럽 국가들이 어떤 반응으로 나올지 주목된다.
분명한 것은 트럼프가 쌀밥만 고집하다 각기병에 걸릴 수도 있어, 대통령 측근들의 슬기로운 국정운영 코디가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일방적인 트럼프 대미(對美) 관세정책, 자국 우선주의로 동맹국마저 떨쳐내려는 이익주의, 불법이민자들의 무조건적 추방 등이 가져다 줄 일방통행 식 트럼프 정책이 자칫 화를 입는 우려가 벌써부터 일고 있다.
이는 미국에 대한 저항감이 동맹국으로부터도 나올 수 있다는 변고다.
윤상진 기자 press@jeonpa.co.kr
<저작권자 © 전파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