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작년 정신병원 강제입원 3만1459명…행정입원제도 점검해야

2024-10-07

매년 3만명 본인의사 상관없이 입원

보호·행정입원 제도 정치적 악용 우려

정신질환자에 의한 범죄 예방도 미흡

김미애 의원 "실효성있는 시스템 필요"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매해 약3만명이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정신병원에 입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7일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작년 우리나라에서 정신의료기관에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입원(비자의 입원)한 환자의 수는 3만1459명이다.

국가입퇴원관리시스템에 등록된 '비자의 입원환자'의 수는 작년 3만1459명으로 집계됐다. 2019년 3만5294명, 2020년 2만9841명, 2021년 3만272명, 2022년 2만9199명이다.

'비자의 입원'은 보호입원과 행정입원 등이 있다. '정신건강복지법 제43조'가 규정하는 보호입원은 보호의무자 2인 이상의 신청과 정신과 전문의의 진단으로 정신병원에 2주간 진단입원을 시킬 수 있다. 진단입원 기간 중 서로 다른 정신병원에 소속된 정신과 전문의 2인 이상의 일치된 소견이 있어야 입원 연장이 가능하다.

행정입원은 '정신건강복지법 제44조'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 의한 입원이다. 위험성 있는 인물에 대한 진단·보호를 신청받은 시장·군수·구청장이 정신과 전문의에게 진단을 의뢰해 정확한 진단 필요성이 인정되면 정신병원에 진단입원 절차가 시작된다. 이후 2주 내에 정신과 전문의 2인 이상의 일치된 소견이 있어야 입원연장을 할 수 있다.

약 3만명이 정신병원에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입원 조치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보호입원·행정입원 제도는 자칫 정치적 사유로 악용될 수 있다. 반면 정신질환자에 의한 범죄 예방도 미흡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 등에 의한 행정입원 제도를 종합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아울러 기본권 제한에 관한 법적 논란을 해소하는 동시에 정신질환자에 의한 범죄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사법입원' 제도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영연방 국가의 준사법기구인 '정신건강심판위원회'가 모델이 될 수 있는데 지역의 판사와 정신과 전문의, 이송 인력 등이 위원회를 이뤄 심사하는 제도다.

김 의원은 "매해 수만 명이 비자발적으로 정신병원에 사실상 강제입원되고 있는 상황에서 혹시라도 정치적 의도나 재산분쟁·가정불화 등의 원인으로 치료보다는 다른 목적으로 강제입원이 되는 사람이 있어선 안 된다"며 "지자체장에 의한 행정입원제도의 악용 가능성에 대한 점검과 함께 흉악 범죄 가능성이 있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격리제도가 적법절차에 따라 실효성 있게 운용될 수 있도록 보다 정밀하게 규정과 절차를 점검하고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