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국내 노인빈곤율이 최근 2년간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의 e-나라지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노인빈곤율)은 38.2%였다.
가처분소득은 자유롭게 소비하거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으로, 개인소득에서 세금 등을 빼고 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을 보탠 것이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 노인 중 소득수준이 중위소득의 50%(상대 빈곤선) 이하인 사람의 비율을 말한다.
노인빈곤율은 우리나라 전체 상대적 빈곤율(14.9%)이나 근로연령인구(18∼65세)의 상대적 빈곤율 9.8%(남성 9.7%, 여성 10.0%)보다 월등히 높다.
지난 2023년 노인빈곤율을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 31.8%, 여성 43.2%로 여성이 훨씬 더 빈곤했다.
그동안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대체로 낮아지던 추세였다.
지난 2013년 46.3%, 2014년 44.5%, 2015년 43.2%, 2016년 43.6%, 2017년 42.3%, 2018년 42.0%, 2019년 41.4% 등으로 40%대 중반에서 초반으로 꾸준히 감소하다가 2020년 38.9%로 처음으로 30%대로 떨어졌다. 2021년에는 37.6%로 2020년보다 1.3%포인트 내려가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개선되는 듯 했던 노인빈곤율은 2022년 들어서 38.1%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높아지며 뒷걸음질 치더니 2023년엔 38.2%로 0.1%포인트 더 올라갔다.
국내 노인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다.
OECD의 '한눈에 보는 연금 2023'(Pension at a glance 2023)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다.
OECD 가입국 중 노인의 소득 빈곤율이 40%대에 달할 정도로 높은 국가는 한국밖에 없다.
한국 노인의 빈곤율은 고령층으로 갈수록 더 높아졌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 중 66∼75세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이지만, 76세 이상은 52.0%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다.
한국 노인 인구의 소득 불평등 수준은 다른 계층보다 더 심하다.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76으로 전체 인구(0.331)보다 높았다.
OECD 회원국 평균 노인 인구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0.306)가 전체 인구(0.315)보다 낮은 점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지니계수는 소득 불평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뜻이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