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오가며 갤럭시 S25 울트라 써보니
최신 칩에 역대 최고 반응속도 체감
접사모드로 밥알, 딸기씨까지 포착
타사 어플보단 일어 번역 정확도 ↓
앞으로 더 기대되는 대화형 AI
복수의 앱 넘나들며 지시 수행
대화하듯 사진 검색…결과 정확
오디오 지우개 등 유용 기능도

삼성전자의 새 플래그십 폰 ‘갤럭시 S25 울트라’(S25 울트라)를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일주일간 사용해봤다. 카메라 성능과 빠른 동작 속도는 나무랄 데 없었고, 손 안의 개인 비서 ‘에이전트 인공지능(AI)’ 기능은 더 큰 발전 가능성을 엿봤다.
S25 울트라에서 가장 먼저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은 디자인이다. 전작의 각진 모서리 대신 둥근 모서리가 적용돼 한층 부드러운 느낌을 줬고, 0.4㎜ 얇아진 두께는 육안으론 알아채기 어려웠지만, 기기를 쥐었을 때의 그립감은 한층 나아졌다

전원을 켜고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동작 속도다. 평소에 사용하는 S22 울트라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빠르고 부드러운 화면 전환을 보여줬다. 앱 가동 속도도 눈에 띌 정도로 나았다. 전작인 S24 울트라와 비교해도 속도 개선이 느껴질 정도였다.
S25 울트라의 두뇌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엔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적용됐는데, 앞서 안투투, 벤치마크 등 기존 성능 테스트 프로그램에서 애플의 아이폰16 프로에 적용된 AP인 A18 프로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해 화제가 된 바 있다.
◆비행기에서 후지산 능선까지 포착
일본에서 가장 유용했던 S25 울트라의 장점은 카메라와 번역 기능이다. S25 울트라 카메라는 전작에 1200만 화소였던 초광각 렌즈를 5000만 화소로 업그레이드했다. 시야각이 넓은 초광각 렌즈 특성상 탁 트인 풍경 사진을 찍을 때 진가를 발휘했다.
화질은 나무랄 데 없었다. 일본으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본 후지산을 20배 확대해 동영상을 찍었는데, 눈 덮인 산의 능선이 다 보일 정도로 선명했다. 일본 전통 코스 요리인 ‘가이세키’에 나온 게살 덮밥, 디저트 딸기 등에 렌즈를 가까이 대고 접사를 찍어보니 밥알과 딸기씨 부분이 세세하게 포착됐다.

식당 메뉴판, 상점의 포스터를 볼 때도 매번 S25 울트라를 꺼내들었다. 메뉴판을 카메라로 비춘 뒤 홈 키를 길게 누르면 바로 번역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서다. 번역된 내용이 줄글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메뉴판 양식에 맞춰 일본어가 적혀 있던 그 자리에 한글이 표기돼 주문에 용이했다. 다만 네이버의 번역 앱인 파파고와 같은 사진을 놓고 번역 정확도를 비교해보니 파파고 쪽 번역이 조금 더 높고 자세하게 나왔다.

◆복잡한 지시도 말 한 마디로 OK
AI 기능은 유용하면서도 앞으로가 더 기대됐다.
S25 시리즈부턴 제품 우측 버튼을 길게 누르기만 하면 구글의 대화형 AI ‘제미나이’를 호출할 수 있는데, 기존에 여러 앱을 켜고 수행해야 했던 작업도 말 한 마디로 지시할 수 있었다. 기존에 친구한테 강남역 맛집 3곳을 찾아 문자로 보내려면 지도 앱을 켜서 맛집을 찾고, 메시지 앱에 맛집들을 일일이 입력해 보내야 했다. 그런데 S25 울트라에선 “○○한테 강남역 맛집 3곳 찾아서 문자로 보내줘”라고 말하니 기기가 스스로 검색한 뒤 문자로 보낼 내용을 화면에 띄워줬다. “□□ 가수의 공연 일정을 찾아서 캘린더에 추가해줘”라고 말하니 구글 검색부터 캘린더 일정 작성까지 한 번에 해결됐다.

대화형 지시는 앞으로 연동되는 서드파티(제3지대) 앱들이 늘어나면 유용성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구글과 삼성 기본 앱 일부만 넘나들며 작업할 수 있어서다. “◇◇을 찾아서 △△에게 카카오톡으로 보내줘”와 같은 지시는 아직 수행하지 못했다.
가끔 나타나는 할루시네이션(환각 현상)은 앞으로 개선돼야 할 부분이다. S25 울트라로 가이세키 음식을 촬영한 뒤 “이 음식들에 대해서 설명해줘”라고 지시하니 “한국의 전통음식인 김치와 김밥”이라고 대답해서다. 다만 이는 기기의 문제라기보단 생성형 AI의 태생적 한계에 해당한다.
◆나우브리프는 아쉬워… 개선 필요
S25 울트라는 제미나이 외에도 기존 AI 비서 기능인 빅스비도 동시에 제공한다. 스마트폰 내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은 빅스비 쪽이 더 정확했다. 사진첩 검색 기능에서 “일본에서 찍은 사진 중 전봇대에 새들이 앉아있는 사진을 찾아줘”라고 말하니 1만장이 넘는 사진 중 의도한 하나를 정확히 골라냈다.

다만 이번 시리즈에 처음 탑재된 ‘나우브리프’는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나우브리프는 아침에 눈을 뜨면 전날 밤 수면 관련 정보와 컨디션, 캘린더 앱에 입력해 놓은 일정들, 날씨 등을 정리해 한 페이지에 보여주는 기능이다.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해 시간대별로 사용자 맞춤형 정보들을 알아서 제공해주는데, 이미 첫 화면에 날씨·캘린더 위젯으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게끔 정리해놓은 이용자라면 다시 나우브리프로 들어가 정보를 볼 이유가 크지 않았다.
일주일로는 S25 울트라가 사용자 패턴을 학습하기엔 부족해 맞춤형 정보 제공이 어려웠을 수 있다. 그러나 기기 사용 중 나우브리프에서 가장 자주 확인한 정보는 ‘오늘의 운세’ 정도였다. 이보단 더 많은 맞춤형 정보를 보여줘야 새로운 기능으로 내세울 만할 것으로 보인다.
◆콘텐츠 향상 AI 기능 주목
삼성전자가 지난달 23일부터 운영 중인 갤럭시 S25 시리즈 체험 공간 ‘갤럭시 스튜디오’에서 가장 화제가 된 ‘오디오 지우개’ 기능도 흥미로웠다. 동영상의 배경 소음이나 주변 사람의 목소리가 같이 녹음됐을 때 AI로 음성, 자연, 군중, 소음 등 사운드를 분석·분리해 원하는 소리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실제로 소음이 큰 지하철에서 대화를 하는 영상을 찍어 기능을 적용해보니, 지하철 소음만 따로 제거해 대화 내용을 보다 선명하게 들을 수 있었다.
그리기 어시스트 기능은 아무리 대충 그린 그림도 공들인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변환해줬다. 사진 속 인물 어깨에 S펜으로 고양이 윤곽만 그려도 실제 고양이 사진을 자연스럽게 합성해줬고, 대충 그린 강아지 스케치를 털이 풍성한 강아지 그림으로 완성해줬다. ‘파란 목줄’이라는 텍스트 지시어를 추가하니 강아지에 파란 목줄이 달렸다.
‘이동 중’은 핑계고, 기자가 직접 체험한 모든 것을 씁니다.
이동수 기자 d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