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대 그룹 매출, GDP의 40% 차지…전체 경제규모의 80% 육박

2025-05-06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지난해 5대 그룹의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40%를 차지하는 등 대기업 집단의 매출이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80%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관가 등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대기업·자산 5조원 이상) 92곳이 지난해 올린 매출은 2천7조7천억원으로, 한국은행이 발표한 동기 명목 GDP(2천549조1천억원)의 78.8%에 달하는 규모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상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1조6천억원 이상) 46곳이 올린 매출액은 1천833조1천억원으로 GDP 대비 71.9% 수준이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 자산 기준으로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를 차지했다.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의 집중도가 압도적이라는 뜻이다.

기업 매출은 해외 발생분도 포함하기 때문에 GDP와는 범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특정 기간의 산출량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감안하면 대기업 편중 정도를 따지는 가늠자가 될 수 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으로 331조8천억원이다. 삼성그룹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0%에 달한다는 뜻이다.

다음은 현대자동차그룹(279조8천억원·11.0%), SK(205조9천억원·8.1%) 순이었다.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천25조원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다.

대기업 집중 현상은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척결해야 하는 '병리 현상' 혹은 경제를 지탱하는 '대들보' 등 정권의 시각에 따라 정책 대응은 판이했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경제민주화를 경제 정책의 한 축으로 삼고 공정위를 앞세워 재벌 개혁을 추진했다. 대기업 부당 내부거래 등 반칙행위를 막고 모든 경제 주체들이 상생하도록 갑을관계를 개선하는 데 방점을 뒀다.

GDP 대비 대기업집단 매출액 비중은 2018년 70.9%에서 2019년 68.7%, 2020년 65.3%로 점차 떨어졌다. 그러다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상황이 달라졌다. 위기 대응력이 높은 대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상승하면서 이 비율은 2021년 73.5%, 2022년 85.2%까지 뛰었다.

2022년 5월 들어선 윤석열 정부는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기업 규제 완화 등 친대기업 정책을 펼쳤다. GDP 대비 대기업 매출액은 2023년 79.4%, 2024년 78.8%로 코로나19 때보다 낮아졌지만 문재인 정부 초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다음 달 대선 후 본격 윤곽이 드러날 새 정부의 대기업 정책 방향은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표] 명목 GDP·공시집단 매출액·상대 비율 (단위 : 조원·%)

연도 명목 GDP(A)

공시집단

매출액(B)

B/A

2017 1,934.2 1,359.5 70.3

2018 2,007.0 1,422.0 70.9

2019 2,040.6 1,401.6 68.7

2020 2,058.5 1,344.5 65.3

2021 2,221.9 1,633.7 73.5

2022 2,323.8 1,979.1 85.2

2023 2,401.2 1,907.3 79.4

2024 2,549.1 2,007.7 78.8

※ 자료 : 한국은행·공정위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