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슐리 웃고 아웃백 주춤...패밀리레스토랑 성적도 '가성비'가 갈랐다

2025-04-18

이랜드이츠, 작년 역대 최대 매출...'가성비' 애슐리가 성장 견인

패밀리레스토랑 1위 아웃백은 주춤...불황에 고급화 전략 직격탄

양사 확대 기조 지속...연내 매장 수 애슐리 150곳·아웃백 101곳 목표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패밀리레스토랑 애슐리퀸즈를 운영하는 이랜드이츠가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올렸다. 반면 그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던 업계 1위 아웃백은 역성장하며 주춤한 실적을 냈다. 외식업계 소비 한파가 극심한 가운데 '가성비'가 패밀리 레스토랑 주도권 대결의 희비를 결정지은 것이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랜드이츠의 지난해 매출액 4705억으로 전년 대비 32% 신장했다. 영업이익은 319억으로 80.8% 신장했다. 이랜드이츠는 이랜드그룹의 외식 계열사다. 패밀리레스토링인 '애슐리퀸즈' 비중이 70%가량으로 높다. 애슐리퀸즈 사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다.

애슐리퀸즈의 호실적은 '가성비'와 관련이 깊다. 이랜드이츠는 2020년부터 기존의 애슐리 매장을 프리미엄 모델인 애슐리퀸즈로 전환하면서 80여 종이던 메뉴를 200여 종으로 늘렸고, 2020년 사업을 종료한 스시 뷔페 '수사'의 메뉴까지 통합했다. 한 곳에서 다양한 음식에 디저트까지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불황형 소비의 핵심 트렌드인 가성비와 가심비를 제대로 저격했다는 평가다.

특히 애슐리퀸즈는 지난해 주요 상권에 30개 이상의 매장을 오픈하며 아웃백을 제치고 패밀리레스토랑업계 매장 수 1위에 등극했다. 현재 매장 수는 110곳이다. 올해도 공격적인 매장 확대에 나선다. 지난해보다 10곳 많은 40개 매장을 신도시 상권 중심으로 오픈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올해 연매출 7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이랜드이츠 관계자는 "A급 제품을 2분의 1의 가격으로 고객에게 제공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이후 외식 고물가 현상이 이어지고 있어 합리적인 가격의 이랜드이츠 브랜드들이 많은 호응을 얻었다"고 말했다.

반면 패밀리레스토랑 업계 1위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아웃백)는 같은 기간 역성장하며 주춤한 실적을 냈다. 아웃백의 지난해 매출액은 4305억원으로 전년 대비 5.9%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545억원으로 영업이익은 31%나 줄었다.

수년간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던 것을 감안하면 아쉬운 성적표다. 업계에선 지난해 아웃백이 매출이 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경쟁업체인 TGI프라이데이가 영업을 중단하는 등 패밀리레스토랑 수요가 몰릴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아웃백의 지난해 실적이 뒷걸음질 친 것은 불황에 따른 타격 때문이다. 아웃백은 '정통 미국식 스테이크 하우스'를 추구하는 브랜드다. 대표 메뉴로 토마호크, 포터하우스 스테이크 등을 내세우며 '특별한 날을 위한 프리미엄 다이닝'을 선보인다. 가성비와는 거리가 있는 프리미엄 전략이다. 지난해 불황 심화에 따른 소비침체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아웃백은 올해 심기일전해 신메뉴 출시, 신규 출점 등에 나선다. 현재 아웃백은 98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내달 강동아이파크더리버점, 구의이스트플점 등 2개 매장을 오픈하고 6월 진주롯데몰을 이전 오픈한다. 하반기에는 1개 지점을 추가해 연말까지 101개 매장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아웃백 운영사 다이닝브랜즈그룹 관계자는 "지난해는 소비 침체, 금리 인상,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외식 시장 전반이 위축된 한 해로 아웃백 역시 단체 모임 감소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일부 받았다"며 "다만 올해 1분기부터는 고객 트래픽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며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