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빈곤율이 2년 연속 악화돼 2023년 기준 65세 이상 한국 노인 10명 중 4명 꼴로 빈곤층으로 나타났다.
3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가처분소득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38.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38.1%였던 전년보다 0.1%포인트 악화된 수치다.
관련기사
- 권영세·권성동, 尹 면회에 박지원 "차라리 당사 서울구치소로 옮겨라"
- 트럼프 ‘25% 관세‘에 멕시코 뿔났다 "美·멕시코 경제 모두에 심각한 영향"
- "상한 명절음식 절대 먹지 마세요"…긴 설연휴에 ‘이 바이러스‘ 주의보
- "입춘인데 영하 10도라니"…다음주도 강추위 이어진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 노인 중 소득 수준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사람의 비율로 빈곤층의 규모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는 수치다. 2023년 중위소득은 3757만 원으로 빈곤선은 약 1879만 원이다.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4명은 연간 1879만 원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 노인빈곤율은 2013년 46.3%에서 2021년 37.6%로 꾸준히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2년 38.1%로 소폭 증가한 뒤 2023년에도 0.1%포인트 늘어났다.
특히 노인빈곤율은 고령층으로 갈수록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 중 66∼75세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지만, 76세 이상은 52.0%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다. 한국 노인 인구의 소득 불평등 수준은 다른 계층보다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