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전주 거주 일본인들의 삶 기록, '조선에 전주가 있다'

2025-08-06

전주회(全州會)가 1979년 일본에서 발간한 수필집 번역해 엮어

전주가 고향인 일본인들이 당시를 회상하며 쓴 33편의 수필 실려

전주회(全州會)가 일본에서 발간한 수필집을 번역해 엮은 <조선에 전주가 있다>(신아출판사)가 출간됐다.

전주회는 일제강점기 전주에 살았던 재조 일본인들이 모여 1954년에 만든 단체다. 이들은 1979년 일본 도쿄에서 전주회 창립 25주년을 기념하며 수필집 전주(全州)를 발간한다. 이후 전주문화재단 김창주 팀장이 2006년경 <전주 근대생활 조명 100년> 이라는 책을 기획하면서 전주(全州) 수필집을 알게 됐고, 전주의 재조 일본인을 연구하게 됐다.

당시 전주문화재단 장명수 초대이사장을 중심으로 전주(全州)의 33편 수필 중 일부 내용이 <전주 근대생활, 조명 100년> 제1권에 실렸다. 이후 후속 연구를 위해 전주(全州) 복사본을 소장했던 김창주 팀장이 올해 신아출판사의 16번째 지역학 총서로 <조선에 전주가 있다>를 펴냈다.

책에는 전주가 고향인 일본인들이 당시를 회상하며 쓴 33편의 수필이 수록되어 있다. 전주에서의 유년, 학창시절, 직장생활 등의 아름다운 추억이 담긴 글들이 주를 이룬다. 이외에도 중일 전쟁과 태평양전쟁 등 전장에 출정해 전주로 귀환하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글도 담겨있다. 8·15 광복의 해방공간에서 일본으로 귀국하기까지와 그 후의 생활을 기록했거나 1970년대 전주를 다시 방문한 과정과 소회를 기술한다. 또 전주의 역사와 문화, 현황을 소개하고 전주회의 역할에 대한 글들도 실려 있다.

책을 번역한 김창주 팀장은 이번 책에 대해 “(역사적으로는) 비판의 여지가 있지만, 일본인들의 양가적이고 이율배반적 정서를 분석하고, 사회 각층의 구술과 기록을 균형 있게 담아내는 것도 중요하다”며 “일제강점기 역사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아 또 다른 왜곡을 가져오는 상황을 방지하고 전주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사료가 되었으면 한다"라고 설명했다.

1976년 전주에서 태어난 김창주 팀장은 전북대학교에서 사학, 대학원에서 한국음악학(작곡)과 문화인류학을 공부했다. “예술은 진화하는 것인가?”라는 것에 의문을 갖고 2003년 <아리랑 기원의 諸說에 대한 검토‘를 발표했다. 2006년 전주문화재단 창립사원으로 입사해 현재까지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전주시 마을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해설하며, 마을의 발전하는 제안하는 마을술사 양성과 지원 사업을 기획했다. 지난 2022년 전주의 역사, 문화, 예술을 담은 <전주미학>을 출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주회 #신아출판사 #김창주 #조선에 전주가 있다

박은 parkeun90@naver.com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