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성통신과 5G 특화망, 무선충전 등 한국이 추진하는 혁신 전파 정책을 아시아태평양(APEC) 정부 당국자와 전문가에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1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디지털 위크' 일환으로 '전파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AI와 함께하는 전파 정책의 미래'를 주제로 개최됐다. 미국·일본·중국 등 APEC 관계자를 대상으로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활성화하고 전파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국의 주요 전파 정책과 제도개선 사례,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 방향을 함께 모색했다.
남상욱 서울대 명예교수는 기조연설에서 “전파의 활용 범위가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므로 전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AI 기술들을 적극 도입해 나가야 한다”며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이 전파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지속 개선하고 이를 위한 정책들을 다양하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파 혁신' 세션에서 지은경 과기정통부 전파방송관리과장은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지 과장은 “위성통신 분야에서 APEC 관계자와 기술·공급망 분야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장원호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연구위원은 정부가 무선충전산업 활성화를 위해 추진해왔던 제도개선 사례들과 관련 신기술이 신속하게 상용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험·설비 인프라 구축 계획을 소개했다. 이상수 LG전자 팀장은 제조·물류·건설·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이음5G 서비스 사례들을 공유했다.
'디지털 시대의 안전한 전파 환경 구축'두 세션에서는 김종년 RAPA 본부장이 AI를 활용한 미인증 기자재 단속 시스템 구축 계획을 소개했다. 5G 무선국의 전자파 예측 기술 개발 계획 등 전파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들이 소개되고 세계 각국과 진행하는 국제공동연구 결과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김경우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기획과장(전파국장 대행)은 “앞으로 과기정통부는 AI가 이끄는 디지털 시대에 핵심 국가 자원인 전파가 효율적으로 관리·운용돼 ICT 발전과 산업 활성화를 적극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