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서민이란, 사회적 특권이나 경제적인 부를 많이 누리지 못하는 일반 사람을 칭한다. 최근 들어 코로나와 러.우전쟁 등 국제간 분쟁으로 인한 경제적인 쇼크로 서민경제는 나날이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한극은행 등 정책당국은 미국의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의 과열 방지와 금융시장의 안정을 이유로 대출규제 외에는 특별한 대안을 내놓지 않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특히 부동산과 금융권의 뇌관으로 작용하고 있는 PF사업장의 부실 정리가 답보상태에 있으며 내수부진으로 인한 성장지체와 경기침체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다행이 한국은행이 금리인하를 단행하여 방향을 전환코자 하고 있으나 단기간에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서민금융을 실질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기관은 협동조합기구로 대표적으로 신용협동조합(신협)을 들 수 있다. 신협은 1960년 6.25 전쟁이후 어려운 서민들의 삶을 개선코자 미국인 가별수녀님과 한국의 장대익 신부님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이후 성장을 거듭하여 150조원의 자산을 형성하는 등 외적 성장은 물론 아시아 신협의 회장국이자 선도국으로, 세계신협의 이사국으로 활동하는 등 내적 성장까지 이룬 세계 3위의 신협국가가 되었다.
신협운동은 우리 모두를 위한 사회.경제적 운동이다. 특히, 잘살기 위한 경제운동, 사회를 밝힐 교육운동, 더불어 사는 윤리운동을 과제로 삼고 있는 우리나라 신협운동은 내년으로 설립 65주년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각종 규제 속에 조합원을 위한 금융보다는 제도권 금융기관의 틀 속에서 몸살을 앓고 있다.
1998년 IMF사태 이전 신협의 성장기에는 수신규제로 인하여 협동조합의 역할보다는 고리사채를 대체하는 소규모 금융기관의 역할에 불과하였고 그 이후에는 획일적인 여신규제로 인하여 은행의 모습을 답습하는데 그치고 있다.
신협은 일반 시중은행에 비하여 점포운영비와 전산장비, 무보수 임원과 직원들의 봉사을 바탕으로 관리비를 절감함으로써 은행권에 비하여 수신금리는 높고 여신금리는 낮게 운용함으로써 서민계층에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야 한다
그러나 각종 규제가 시중은행 등과 동일하게 운용됨에 따라 금리운용이나 경영의 틀도 주식회사 형태의 금융기관과 유사 할 수밖에 없는 실정으로 협동조합의 장점을 찾기가 어렵게 되었다.
이제라도 유럽의 신협처럼 중앙회가 은행기능을 가지고 일선 신협을 지원하여 한국형 그라민은행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서민과 중산층, 자영업자들의 이용 편의를 개선하고 이들의 진정한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여신 공동유대를 광역화하여 10개 권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1979년 독일 미제레오재단의 지원으로 건립된 신협 연수원은 신협이 지상과제로 삼고 있는 사회를 밝힐 교육운동의 실천의 일환으로 임.직원의 업무능력 향상과 협동조합 교육은 물론 조합원들에게 경제, 금융, 건강, 협동조합 등의 성인교육을 담당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해오고 있다.
또한 창립 10주년을 맞이한 신협사회공헌재단은 2014년 31대 필자에 의하여 설립되고 김윤식 현회장에 의하여 성장 발전시켜온 기부협동조합으로 자연재해나 대형화재 등 재난을 당한 이웃을 위한 지원 사업은 물론 소상공인 지원사업,의료사각지대의 진료봉사,장애우를 위한 차량지원, 해외 교육시설 등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어려운 이웃을 향한 신협인들의 사랑을 전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철상 신협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