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재무구조 개선과 영업흑자 전환이 가능하다"며 실적 반등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하지만 폐점 보류, 유동성 악화, 인수자 부재 등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시장에서는 '회생'보다는 '연명'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온다.
숫자 읽기
고금리 차입금 상환 시 금융비용 3300억원 이상 절감 전망
임대료 연 1400억원 수준으로 축소 계획
온라인 부문 연평균 20% 성장, 2024년 매출 1조5000억원 달성
1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 16일 배포한 공식 미디어브리핑을 통해 "인가 전 M&A가 제3자 신주인수 방식으로 성사될 경우 유입 자금으로 고금리 차입금을 상환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5500억원에 달했던 금융비용은 3300억원 이상 줄고 우선주 배당금과 고금리 수수료도 대부분 제거될 전망이라는 설명이다.
회생절차를 통해 고정비 부담이 큰 임대료를 연 1400억원 수준으로 줄이고 임대료 조정이 어려운 일부 부실 점포를 폐점하면 약 700억원의 손실 개선 효과가 있다는 주장도 내놨다. 여기에 지난해 대법원 판례에 따른 일회성 퇴직금 증가분(600억원)과 기타 일회성 비용(500억원)을 제외하면 단기간 내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영업 측면에서는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성장과 온라인 부문 확대를 근거로 들었다. 온라인 부문은 최근 3년간 연평균 20% 성장해 2024 회계연도 기준 매출 1조5000억원을 기록, 전체 매출의 22%를 차지한다. 홈플러스는 "회생이 종료되면 건강하고 유망한 식품 중심 유통기업으로 새 출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실적 반등 전망을 낙관론으로 평가하는 시각이 많다. 특히 '15개 비수익 점포 폐점' 계획은 정치권 개입으로 사실상 무산되며 구조조정 동력이 약화됐다. 지난 9월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대주주 MBK파트너스 측과 면담한 후 폐점 보류 방침이 공식화됐다.
해당 점포들은 최근 '고별 세일전'을 진행하고 있지만 소비자 혼란과 매장 활용 비효율만 키우고 있다. 고정비 부담은 여전히 크고, 폐점 여부가 불확실한 공간에 새 임차인이 들어올 가능성도 낮다.
회생 절차 신청 이후 홈플러스 매출은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했으며 7~9월분 전기요금, 재산세, 4대보험 등 공과금 미납 규모는 900억원에 달한다. 상품 수급도 불안정해 일부 납품사는 거래 중단을 선언했다.
M&A 역시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지난달 공개된 인수의향서는 하렉스인포텍과 스노마드 단 두 곳뿐이었으며 두 기업 모두 유통 경험이나 자금력을 제대로 검증받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실제 본입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정부 개입을 촉구하는 노조와 시민사회단체의 압박도 거세다. 마트노조와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는 17일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과 상징행동 '258배'를 진행하며 조속한 정부 개입을 요구했다. 단식 10일차를 맞은 노조 지도부의 건강 악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구조조정이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손실 만회를 전제로 한 낙관적 전망은 신뢰받기 어렵다"며 "회생계획안 제출 마감일인 12월 29일까지 실질적인 M&A 진전이 없으면, 실적 반등보다는 청산 가능성이 더 가까운 시나리오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