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가도 딥시크 NO…정부 정책에 보조 맞춘다

2025-02-06

국내 유통사들이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다. 개인정보 유출 등 커지는 우려에 먼저 행동에 나선 정부 부처와 보조를 맞춰 나가는 상황이다.

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는 이날 임직원들에 딥시크에 대한 예외 없는 차단을 결정했다고 공지했다. 그동안 신세계는 생성형 AI에 대해 규제하면서도 업무 연관성이 있으면 사용을 허용해왔다. 그런데 이번에 딥시크에 대해서는 예외 없이 사용 불가 방침을 결정한 것이다.

관련기사

  • 대만 "딥시크에 대응 ‘AI 주권 구축’ 나설 것"
  • "핵심정보 새나갈라"…대기업들도 ‘딥시크 경계령‘
  • 문체부도 ‘中딥시크’ 차단…“정보 유출 우려”
  • 국토부도 ‘딥시크‘ 접속 차단…"정보 유출 우려"

롯데그룹 역시 사내 정보 보호를 위해 딥시크, 챗GPT등 생성형 AI 플랫폼에 대한 접속을 제한하고 있다. 이는 그룹 차원의 결정으로 롯데 계열사 전체에 적용된다. 대신 롯데 임직원은 롯데이노베이트에서 자체 개발한 AI 플랫폼 ‘아이멤버’를 통해 기술 점검을 마친 AI 프로그램은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딥시크는 기술 검증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접속이 불가하다.

e커머스 선두업체인 쿠팡은 이전부터 외부 AI 접속이 불가하다. 딥시크 뿐만 아니라 챗GPT 등이 모두 포함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