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보훈부는 전국에 퍼져있던 의병세력을 모아 연합군을 조직해 서울진공작전을 전개한 ‘13도창의군 결성’을 올해 12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13도창의군은 1905년 일제의 국권 침탈 본격화 이후 결성된 전국적 연합의병부대다. 강원·경기 지역에서 활동하던 이인영과 허위를 중심으로 전국 의병 지도자들이 연합해 1907년 말 13도창의대진소를 조직했다. 이인영이 총대장, 허위가 군사장으로 추대됐다.
이들은 일제 통감부를 공격해 일제와 강제로 맺은 조약을 파기하고 친일 관료를 처단한다는 목표로 서울진공작전을 계획했다.
1만명 규모의 의병이 지평과 양주에 집결해 일본군과 치열하게 싸웠다. 후속부대의 본진 도착 지연과 탄약 부족 등으로 서울까지 진공이 어려워졌고 일본군의 대대적 탄압이 이어지면서 민긍호·이강년·허위·이은찬·이인영 등 핵심 지도부가 전사하거나 체포됐다.
이후 이러한 활동은 장기간 지속된 의병운동의 역량을 보여줬고 나아가 이후 국내외에서 치열한 무장투쟁 운동이 전개되는 전환점이 됐다.
13도창의군은 비록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최초의 전국적 연합의병 조직을 구축, 무력투쟁과 외교운동을 병행하는 전략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고 국가보훈부는 설명했다.
한편 국민이 추천한 12월의 독립운동은 민중대회사건(1929), 중앙군관학교 한국특무대독립군 조직(1934),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일선전포고(1941),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전시국방복무요령 발표(1941), 평양사단 조선인 학병 탈출사건(1944), 고려독립청년당 결성(1944) 등이 있었다.
![[연해주가 부른다] 연해주의 독립운동](https://www.usjournal.kr/news/data/20251127/p1065623135485991_371_thum.png)
![[설왕설래] 국군 포로 기억의 날](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6/20251126519766.jpg)
![민족자결주의에 피압박민족은 배재됐지만...현대 세계 만든 1919년 파리 강화회의[BOOK]](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8/b99e45e4-2631-4118-8666-cec09e1279c4.jpg)


![[세계타워] ‘제국’의 긴 손](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06/18/2025061851883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