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대동이 피지컬 AI 시대를 준비하며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에 참여한다.

대동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한국팹리스산업협회 및 주요 제조 기업들과 함께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20일 산업부 주최로 열린 'AI 반도체 협업 포럼'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은 AI 반도체 수요 기업, 팹리스, 관련 기관이 함께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을 공동 개발해 국내 반도체 산업 발전을 견인하고, 제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관련해 산업부는 피지컬 AI 시대 선점을 위해 1조원 규모의 'K-온디바이스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기획, 추진하고 있다. 자동차, IoT, 로봇, 방산 등 총 4개 분야 수요 기업 중심으로 국내 팹리스와의 협력을 통해 AI 반도체 기술을 개발하고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대동은 본 협약을 통해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 개발에 적극 참여하여 미래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정밀 농업, 스마트파밍으로 대표되는 미래농업에서는 AI 기반 자율주행, 생육진단, 자율 작업 등을 위한 온디바이스 AI가 필수적이고, AI 반도체 기술과 관련 개발 생태계 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대동은 시스템 반도체 업계와의 전략적 공조로 농업 로봇, 자율 작업 농기계에 특화된 AI 반도체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 기획 단계부터 기술 협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대동의 모든 제품에 AI, 로봇 기술을 적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대동은 자율 작업 농기계 및 로봇 제품에 피지컬 AI 기술을 본격 적용 중이다. 지난해 11월에는 업계 최초로 자율 농작업을 수행하는 자율주행 4단계 온디바이스 AI 트랙터를 선보였으며 2026년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다. 군집 자율 작업이 가능한 5단계 농기계는 2030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난 2월 출시한 농용 운반 로봇에 사물인식 추종,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상위 모델을 하반기부터 선보일 예정이며 장기적으로 다양한 작업기와 결합해 다기능 농용 로봇으로 진화시킬 계획이다. 대동은 이동·동작·판단을 3대 축으로 한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실시간 판단과 제어가 가능한 농작업용 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를 확보해 글로벌 선도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농업의 AI 전환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
원유현 대동 대표이사는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는 대동이 추진하고 있는 AI기반 농업 로봇, 자율 주행 농기계, 스마트파밍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이번 협약이 관련 핵심 기술 확보 및 생태계 조성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 국내 반도체 업계와의 전략적 협력을 바탕으로 온디바이스 AI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으며, 농산업의 AI 대전환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