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도쿄 도심의 수십억 원대 고급 아파트에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이 급격히 늘고 있다. 중국인 투자자들이 투기 목적으로 대거 매입하면서 실제 거주가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24일(현지시간) 일본 경제매체 다이아몬드 온라인에 따르면 최근 도쿄 중심부의 고급 아파트 단지에서 공실이 급증하고 있다.
밤이 되면 불이 꺼진 채 관리비만 내는 ‘유령 아파트’가 늘고 있으며, 일부 신축 단지는 입주율이 50%에도 못 미친다. 현재 치요다구의 신축 분양 아파트는 대부분 수억 엔(약 수십억 원) 대지만, 치요다구와 미나토구 등 주요 지역의 공실률은 이미 10%를 넘어섰다.
치요다구 관계자는 “누가 사는지도 알 수 없는 외국인 소유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관련 민원이 새롭게 들어오고 있다"며 "단순한 매너 문제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 붕괴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러한 ‘공실 아파트’ 상당수가 투자 목적이라는 점이다. 일본의 초저금리와 엔저 현상 속에서 부동산은 외국인에게 ‘안전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중에서도 중국 자본의 유입이 두드러진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5억 엔(약 46억 원)짜리 아파트를 여러 채 현금으로 한꺼번에 사들이는 중국인 고객이 있고, 한 층 전체나 한 동을 통째로 매입하는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임대를 놓지 않고 공실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세입자를 들이면 매각이 복잡해지고 가격 협상에서 불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집값이 10%만 올라가도 수천만 엔의 차익을 얻을 수 있어 관리비만 내며 ‘빈집’을 그대로 두는 것이 더 이득인 셈이다.
치요다구의 한 거주자는 “이 아파트에 실제로 사는 사람은 30% 정도에 불과한 것 같다”고 증언했다. 실제로 구청 실태조사에서도 소유자의 70%가 비거주자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중국 투자자들은 웨이보와 샤오홍슈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일본 부동산을 홍보하거나 재판매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다이아몬드 온라인은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상점가와 병원 등 생활 인프라가 수요를 잃고 도심 공동화가 가속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외국 자본의 과도한 부동산 투자로 인한 시장 왜곡을 지적하며 △외국인 부동산 거래 사전 신고제(캐나다·뉴질랜드식) △단기 전매 시 양도차익세 강화(영국식) △소유자 정보 공개 및 관리조합 공유 △비거주 부동산 추가 과세(싱가포르식)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