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하고 소외된 사람 도우려고 변호사 돼
15년 넘도록 불안정한 노동자들 지원 활동
"한승헌 변호사님 기리는 상 받게 돼 영광"

“힘든 사람들을 도와라 그게 변호사의 소명이다. 저희 단체의 소명입니다, 앞으로도 어려움을 겪는 분들은 주저 없이 우리 단체에 연락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제1회 산민상을 수상한 ‘직장갑질119’ 대표 윤지영 변호사(48·여)의 각오 섞인 소감이다.
‘직장갑질119’는 1세대 인권변호사인 산민 한승헌 변호사를 기리며 만든 산민상의 1회 수상자로 선정됐다.
윤 변호사는 “한승헌 변호사님은 살아생전에 변호사들이 정말 존경하는 어른이셨다”며 “정의롭기도 하고, 인권옹호에 앞장서는 모습이 모범이 되고 저희가 흠모하는 어른이셨다. 다른 상도 아니고 한승헌 변호사님을 기리는 1회상을 우리 단체에 주셔서 굉장히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법조인을 꿈꿀 때부터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을 돕고 싶었다는 윤 변호사는 “법조인이 되려고 했을 때 애초에 변호사가 되려고 생각했다”며 “우리 사회의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서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변호사가 됐고, 지금까지 관련 활동이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회상했다.
그는 15년 넘게 노동자들을 변호하고 있다.
윤 변호사는 “직장갑질119는 노동조합 밖에 있는 소외된 노동자들과 불안정한 노동자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며 “최근에도 5인 미만 사업장에서 해고를 당한 여성 노동자를 변호했는데, 법적으로 5인 미만 사업장이 근로기준법 적용이 안 되기 때문에 부당해고에 대해 다툴 방법이 없어 아쉬웠던 것이 생각난다. 또 건설현장에서 물을 못 마시게 하는 등 우리의 생생한 노동현실은 굉장히 좀 ‘지옥’ 같다. 이런 생각이 많이 든다”고 말했다.
윤 변호사의 월급은 100만 원이라고 한다.
윤 변호사는 “일주일에 이틀을 출근한다고 생각하고 다른 활동가들 임금에 맞춰서 100만 원을 받고 있지만, 사실상 재택근무까지 포함하면 거의 전일을 근무하는 실정이다”며 “단체의 구성은 변호사나 노무사 등 화려하지만, 경제적인 부분에서는 어려움이 많다. 그런데도 최근 변호를 하다 보면 노동자들의 환경이 더욱 악화하는 것을 많이 느낀다. 매일 힘든 노동자들의 사연을 접하는데, 실제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보다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들이 많을 때 좀 한계를 느낀다”고 토로했다.
‘노동법’을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윤 변호사.
그는 “시대는 바뀌는데, 노동법은 여전히 50년대의 경제에 맞춰져 있다 보니 불안정한 노동자들을 아우르지 못하고 있다”며 “근로기준법도 바뀌어야 되고, 4대 보험법도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남 해남 출신인 윤지영 변호사는 서울 명지여자고등학교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46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제36기로 사법연수원을 수료했다. 이후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한 뒤 현재 직장갑질119 대표와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의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