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터치] 덕산네오룩스, 폴더블 시장 확대로 ‘성장 가도’

2025-02-16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덕산네오룩스가 폴더블 제품 시장 확대를 기반으로 외형 성장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기존 공급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2014년 덕산하이메탈로부터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된 덕산네오룩스는 이듬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등 디스플레이 관련 소재 제조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덕산네오룩스가 북미향 고객사의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수혜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존 고객사 중심으로 납품해오던 비발광소재인 블랙 PDL(화소정의막) 채용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남궁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은 북미 고객사의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상황"이라며 "관련 공급망이 결정되지 않았지만 올해 2분기 확정에 따라 수혜 업체가 부각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덕산네오룩스는 폴더블 스마트폰에 블랙 PDL을 공급해 온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탑재 모델을 확대 중"이라며 "이에 북미 고객사의 공급 업체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원석 iM증권 연구원은 "아이폰 폴더블 스마트폰에도 CoE(봉지망 위 컬러필터)가 적용될 계획"이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블랙 PDL 적용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블랙 PDL은 갤럭시Z폴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향후 프리미엄 모델을 중심으로 기술 적용이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기존 레퍼런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고객사 확보에 나설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노트북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도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소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그간 블랙 PDL은 갤럭시 Z 폴드 및 일부 중국 폴더블 모델 중심으로 적용됐다"며 "올해는 갤럭시 Z 플립, 오포(Oppo), 비보(Vivo)의 일반 스마트폰 모델, 레노버(Lenovo)의 롤러블 노트북 등 적용 모델 다변화가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남궁현 연구원은 "지난 1월 노트북 업체에서 이미 5개의 OLED 탑재 노트북을 공개했다"며 "노트북 OLED 침투율 확대를 기반으로 중형 패널에 블랙 PDL 탑재 수혜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덕산네오룩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0%, 59% 늘어난 2123억원, 52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22억원, 196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다.

정원석 연구원은 "주력 고객사의 애플 아이폰16향 OLED 소재 수요는 재고 조정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했지만 삼성전자 갤럭시 S25향 OLED 패널 조기 생산 효과가 이를 상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달러 환율 상승과 제품 믹스 개선, 연구개발비 감소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덕산네오룩스의 올해 외형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iM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은 덕산네오룩스의 올해 연간 매출액을 각각 2400억원, 3150억원으로 전망했다. SK증권과 키움증권은 매출액을 각각 3580억원, 2369억원으로 내다봤다.

한편 덕산네오룩스의 지난해 연말부터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초 2만원 초중반대를 형성하던 주가는 최근 3만원 초반대를 기록 중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