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개발 핵심자원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빌려쓰는 '서비스형 GPU(GPUaaS)'가 대세로 떠올랐다. AI 서비스 개발·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대기업뿐만 아니라 스타트업부터 대학까지 GPUaaS를 활발히 이용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업스테이지, 스캐터랩, 래블업 등 국내 주요 AI 스타트업과 KAIST 등 대학에서 GPUaaS를 적극 사용 중이다.
GPUaaS는 클라우드에서 GPU를 빌려주는 구독형 서비스다. 원하는 GPU 모델을 필요한 양만큼 수시로 빌려 사용할 수 있다. 고가 자원을 쉽고 빠르게 대여해 적시에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그동안 GPUaaS는 주로 자본력 있는 대기업들이 사용했다. 삼성SDS, KT클라우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 주요 대기업 정보기술(IT) 회사가 데이터센터에 GPU 서버팜을 구축하고 계열사에 GPUaaS 형태로 자원을 제공했다.
하지만 AI 확산과 함께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대학 등으로 GPU 수요처가 넓어지면서 GPUaaS 고객도 다양해졌다.
국내 대표 AI 스타트업인 업스테이지, 스캐터랩, 래블업, 수퍼톤, 베슬AI 등은 이미 GPUaaS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고 있다.
업스테이지 관계자는 “글로벌 GPU 수급난 속에서 자체 데이터센터 구축 대신 GPUaaS를 선택한 덕분에 안정성, 비용 효율성, 빠른 개발 속도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했다”면서 “구하기 어려운 고성능 GPU를 사용한 덕분에 신속한 AI 모델 실험-검증-적용 사이클도 구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AI필기 서비스(다글로)로 140만명 이상 고객을 보유한 AI 스타트업 액션파워 관계자는 “기업용(B2B) 비즈니스가 성장하면서 서비스 사용량이 증가해 필요 때마다 GPU를 확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했다”면서 “GPUaaS 덕분에 24시간 언제나 필요할 때 GPU를 바로 수급·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고 말했다.
대학에서도 GPUaaS는 각광받는다. 최근 고비용 인프라 없이 AI 학습 가속화 연구로 주목받은 한동수 KAIST 교수는 중소기업 데이터얼라이언스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한 교수는 “대학 연구 현장은 예산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 GPUaaS 서비스를 활용하면 비용 문제 부담 없이 여러 시도를 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고객층 확대에 맞춰 GPUaaS 서비스 제공사도 최신 GPU와 맞춤형 컨설팅 등으로 고객 지원을 강화한다. KT클라우드는 3분기 엔비디아 GPU H200 서비스 제공을 앞뒀고 삼성SDS, NHN클라우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도 최신 GPU 라인업을 준비 중이다.
이광범 데이터얼라이언스 대표는 “AI 접목 분야가 확대되면서 다양한 산업군 기업·기관 등에서 GPUaaS 이용 문의가 늘었다”면서 “ 향후 1~2년내 공급사 간 경쟁 우위도 판가름 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