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이스라엘 인질 석방·가자 통치서 하마스 배제 등 조건
[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벨기에가 오는 9일 개막하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밝혔다.
프랑스와 영국, 캐나다 등에 이어 서방 선진국 진영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두 국가 해법'에 대한 지지세가 갈수록 커지는 모양새다. 반면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지구에 대한 공격과 강제 병합 행보를 계속하고 있는 이스라엘은 외교적 고립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막심 프레보 벨기에 외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이달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것"이라며 "이 결정은 팔레스타인, 특히 가자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도주의적 비극과 이스라엘이 국제법을 위반해 자행하는 폭력에 대한 대응"이라고 말했다.
프레보 장관은 이어 "이 결정은 이스라엘 국민에게 제재를 가하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정부가 국제법과 인도주의법을 존중하고 현장 상황을 바꾸도록 조치를 취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벨기에는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조건으로 가자지구 무장단체 하마스가 2년 전 기습 공격 때 납치한 모든 이스라엘 인질을 석방하고, 더 이상 팔레스타인 통치에 관여하지 않겠다고 약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마스는 지난 2023년 10월 7일 일명 '알아크사 홍수' 작전으로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해 1200여명을 살해하고 251명을 인질로 잡아갔다. 현재 남아있는 인질은 50여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중 20여명은 살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레보 장관은 벨기에 정부가 극단주의 이스라엘 장관 2명과 (서안지구의) 폭력적인 정착민 여러 명을 '외교적 기피인물(persona non grata)'로 지정하고, 서안지구 이스라엘 정착촌의 생산품에 대한 수입 금지 등 12개의 제재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2명의 이스라엘 장관이 베잘렐 스모트리치 재무장관과 이타마르 벤그비르 국가안보장관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프랑스는 지난 7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이번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공식 발표했고, 영국과 캐나다, 호주 등은 하마스의 인질 석방과 무장 해제 등의 조건을 전제로 조건부 인정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룩셈부르크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따르면 팔레스타인을 주권 국가로 인정하는 나라는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148개국(바티칸 포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