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계약업체들, 셧다운 장기화에 비상 모드

2025-11-10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업무 정지) 사태가 사상 최장기 사태로 이어지면서, 정부 계약업체들이 잇따라 긴급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다수의 정부 계약 컨설팅·IT 서비스 회사들이 셧다운 장기화로 인한 피해를 구체적으로 공개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효율성부(DOGE)' 주도 예산 삭감 기조와 맞물리며, 업무 중단·지급 지연·계약 연기 등의 여파가 누적되고 있다는 것이다.

방산업체 제너럴다이내믹스(NYSE: GD)는 정부로부터 대금이 지연되거나 지급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상업어음시장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피비 노바코비치 최고경영자(CEO)는 "끝이 보이지 않는 셧다운 속에서 단기 계약 중심 사업의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IT컨설팅사 부즈앨런해밀턴(NYSE: BAH)은 DOGE 감축 조치로 이미 올해 두 차례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한 상황에서 셧다운이 "추가적인 마찰 요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방정부 매출 비중이 98%에 달하는 이 회사는 계약 중단으로 하루 평균 100만 달러의 매출, 이틀마다 100만 달러의 이익이 손실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술 컨설팅사 ICF인터내셔널(NASDAQ: ICFI)은 셧다운 기간 동안 임원 급여를 20% 삭감했다. 존 와손 CEO는 "고통스럽지만 감내 가능한 수준이며, 단기적 현상으로 본다"며 "핵심 인력은 유지해 셧다운 종료 후 신속히 매출을 회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릴랜드주 IT업체 하이테크서비스(HeiTech Services) 브랜던 무니즈 CEO는 "DOGE의 감축 조치 이후 혼란스러운 한 해였다"며 "200명 규모 직원 중 약 5%가 무급휴가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소규모 업체인 우리가 정부를 위해 일하는 것은 영광이지만, 방향성을 알아야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지 않겠냐"고 하소연했다.

이번 셧다운은 사상 최장이지만, 과거 사례에 비해 단기 충격은 덜하다는 평가도 있다. 정부가 사전에 프로젝트별 예산을 일부 확보해둔 데다, 중소업체들이 은행 신용한도를 설정해 미지급 청구서에 대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간이 길어질수록 충격은 확대되고 있다. 대기업들은 초기에는 직원들에게 의무 교육을 받게 하도록 했지만, 최근에는 연차휴가 사용을 지시하고 있다. 의회의 예산 교착이 조속히 풀리지 않을 경우, 인력 감축 등 더 강도 높은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셧다운으로 신규 정부 프로젝트 착수가 지연되면서, 향후 성장 동력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테크놀러지비즈니스리서치(TBR)의 애널리스트 존 코시스는 "DOGE의 인력 감축으로 대부분의 정부 부처가 이미 조달 담당자를 잃은 상황"이라며 "남은 인력도 강제 휴가 중이라 새 계약 논의를 시작할 사람이 없다"고 지적했다.

wonjc6@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