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기의 시대에서 검색의 시대로, 검색의 시대에서 질문의 시대로
애매한 입력도 전문가 수준 결과물로 변환, AI 대중화 앞당긴다
AI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SaaS 기업 프롬랩스(대표 강동훈)가 16일 경기도 판교스타트업캠퍼스에서 열린 'Promptly Pre-Launch Show'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날 행사에서 공개된 '프롬프틀리(Promptly)'는 국내 최초의 AI 프롬프트 번역기로, 사용자 입력을 목적에 맞는 최적화된 프롬프트로 변환해주는 자동화 플랫폼이다. 단순하거나 모호한 자연어 입력을 텍스트·이미지·영상 등 다양한 생성형 AI 활용에 적합한 형태로 구조화해 전문가 수준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프롬랩스는 이를 통해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나아가 AI 활용 격차 해소와 대중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사에는 지자체와 기업 관계자, 일반인, 벤처캐피털(VC) 투자자 등이 대거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특히 IBK기업은행 AI센터 및 디지털혁신사업팀이 직접 현장을 찾으며 업계의 기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동훈 프롬랩스 대표는 “Promptly는 누구나 AI 전문가처럼 AI를 다룰 수 있게 하는 도구”라며 “앞으로도 AI 활용의 장벽을 낮추고, 더 많은 사람들이 AI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 고도화와 글로벌 확산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강병준 전자신문 대표는 “생성형 AI의 고질적인 문제인 할루시네이션(잘못된 정보 생성)을 줄이고, AI가 더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던지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Promptly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핵심 도구로서 앞으로 AI 활용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의준 성남산업진흥원 원장은 “판교는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혁신의 중심지”라며 “Promptly는 시대가 요구하는 문제 해결형 서비스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최승재 중소기업 옴부즈만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자원과 인력이 부족해 AI 전환(AX)에 취약하다”며 “Promptly 같은 플랫폼은 이들의 혁신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현 계원예술대학교 교수는 “프롬랩스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Promptly를 교육과정에 접목하고 있다”며 “학생들이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기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프롬랩스는 10월 Promptly 정식 론칭 전까지 모든 이용자에게 최상위 요금제인 'Max' 요금제를 무료로 제공해,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AI 프롬프트 최적화의 효과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소성렬 기자 hisabis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