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개막을 불과 100여 일 앞두고 대한빙상경기연맹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지도자 ‘찍어내기’ 의혹과 폭력·성폭력 미흡 대응 문제로 집중 질타를 받았다.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빙상연맹이 자정 능력을 상실했다”며 대한체육회 관리단체로 지정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까지 냈다.
2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진종오 국민의힘 의원, 손솔 진보당 의원, 조계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빙상연맹이 쇼트트랙 대표팀 지도자 선임 과정에서 공정위원회 절차를 무시하고 특정 지도자를 배제하려 한 정황을 지적했다.
진 의원은 “8월 연맹 이사회에서 회장과 이사 16명이 공정위원회 심의도 없이 지도자 배제·복귀 여부를 논의했다”며 “절차를 건너뛴 결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연맹이 조직적으로 특정 인물을 몰아내려 결합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손솔 의원은 “징계 사유를 임의로 바꿔가며 지도자 배제를 정당화하려 했다”며 “법원의 징계 효력정지 결정이 나왔는데도 연맹은 징계를 유지하고, 임시총감독까지 부적절하게 임명했다”고 비판했다. 조계원 의원 역시 “유승민 대한체육회장이 ‘A코치의 억울함이 없도록 하라’고 지시했지만 연맹은 무시했다”고 질타했다.
빙상연맹은 지난 5월 대표팀 윤재명 감독과 A코치에게 ‘공금 관리 문제’를 이유로 각각 자격정지 징계를 내렸다. 그러나 윤 감독은 상급기관인 대한체육회 공정위원회 재심에서 징계 부당 판정을 받아 복귀했고, A코치 역시 법원에서 징계 효력정지 가처분 인용 결정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맹은 코치의 복귀를 불허했다. 또한 연맹이 임시총감독으로 선임한 김선태 이사는 2019년 선수단 관리 소홀과 허위 보고 등으로 자격정지 1년 중징계를 받은 사실이 드러나자, 결국 퇴촌 조치됐다.
빙상연맹의 문제는 대표팀 인사뿐 아니라 폭력·성폭력 사건 대응에서도 드러났다. 최근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출신 A씨가 고교 시절 자신을 지도한 B코치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흉기를 휘두른 사건, 피겨스케이팅 C선수가 10대 시절 D코치에게 지속적인 폭행을 당했다고 폭로한 사건 등은 연맹의 대응 미비로 논란이 커졌다. 손솔 의원은 “빙상연맹에 대한 특별감사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진종오 의원과 양문석 의원은 “현재 빙상연맹이 이 상태로는 올림픽 준비가 불가능하다”며 대한체육회 관리단체 지정을 요구했다.

![[2025 국감] 체육계 신고 유형 1위는 '폭력' 17.2%](https://img.newspim.com/news/2025/10/27/2510270816329500.jpg)

![[2025 국감] 野 주진우 "캄보디아 대학생 납치·살해범 송환하나"·檢 "복잡하다"](https://img.newspim.com/news/2025/10/27/251027135605962_w.jpg)
![[2025 국감] 중노위 긴급이행명령 5년간 '0건'…노동자 보호 공백 우려](https://img.newspim.com/news/2025/07/28/250728120438045_w.jpg)

![[단독] 노동진 수협회장, 선거 전 ‘유흥업소 동석’ 조합장들 요직 배치 논란](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0/27/rcv.YNA.20250813.PYH2025081316060001300_P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