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502/news_1739423072_1461481_m_1.jpeg)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는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윤석열 대통령의 징계 조치 여부에 대해 직전 윤리위에서 종결된 사안인 만큼, 추가 절차에는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13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비대위 출범 후 첫 회의를 마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 징계 절차에 대한 질문에 "이전 윤리위에서 했기 때문에 그 부분에는 관여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여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징계 절차는) 거기(이전 윤리위)서 한 번 종결됐다"며 "다시 징계 요구가 있으면 그때 가서 결정할 것이고 이미 종결됐기 때문에 저희는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을 징계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모른다. 이전 위원회의 결정 사항"이라고 말을 아꼈다.
앞서 지난해 12월 12일 한동훈 전 대표는 윤리위에 윤 대통령 제명·출당 등 징계 절차 개시에 대한 심의를 지시한 바 있다.
해당 지시를 이행한 건 '한동훈 지도부' 때의 윤리위였던 만큼, 이미 결론이 난 것으로 보고 현행 '권영세 비상대책위원회 윤리위'에선 윤 대통령의 징계 절차를 새로 논의할 계획이 없다는 게 여 위원장의 설명이다.
이외에 국민의힘 윤리위는 현역 국회의원 1명과 구청장 1명 등에 대한 징계 문제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윤리위는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은 두 대상자에 대해 추가 의결 절차를 거친 이후 징계 여부와 수위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끝으로 여 위원장은 이날 회의를 마치고 "윤리위원들은 가능하면 중립성과 공정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정치적 편향을 나타내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리위는 다음 달 13일 2차 회의를 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