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대자루 뒷면의 꾸덕한 물감, 온몸으로 밀어냈다…'단색화' 하종현의 시작

2025-02-23

한 가지 방법을 꾸준히 관철하는 아티스트가 있는가 하면, 모든 것을 부정하며 끝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아티스트가 있다. 나의 경우 후자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1975년 공간 대상을 받으며 마흔 살 하종현은 이렇게 인터뷰했다. 그의 말대로 작품세계는 앵포르멜(비정형)에서 기하학적 추상, 실험미술, 단색화로 쉴 새 없이 변했다. 서울 율곡로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리는 ‘하종현 5975’는 홍익대 회화과를 졸업하던 1959년부터 초기 단색화 ‘접합’ 시리즈가 태동하던 1975년까지 하종현(90) 초기 작품 세계를 조명했다. ‘한국 단색화 1세대 하종현이 이런 작업도 했나’ 싶은 초기의 실험적 작품 40여점이 나왔다.

대학 졸업을 앞둔 스물 네 살 청년 눈에 비친 세상은 어땠을까. 전시는 1959년 홍대 졸업 작품인 자화상에서 시작한다. 20대의 자화상을 평생 간직한 채 화가는 익숙한 것들과 끊임없이 결별했다.

1962년 하종현은 어두운 색조의 물감을 실뭉치와 함께 캔버스에 두껍게 바른 뒤 토치로 지졌다. 김선정 아트선재센터 예술감독은 “전쟁으로 잿더미가 된 어두운 시대를 불에 그을려 갈라진 캔버스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도시계획백서’ 연작은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7~71) 시기 새롭게 변하는 도시 경관을 역동적으로 담았다. 원색의 선과 면이 쭉쭉 뻗어 나가는 기하학적 추상이다. 경부고속도로가 깔리며 접히듯 가까워진 시공간은 착착 구부린 캔버스로 표현하기도 했다. ‘탄생’ 연작은 씨앗 무늬를 반복한 작품으로 단청의 원색을 사용하면서 캔버스를 잘라 돗자리 짜듯 엮으며 소멸해 가는 전통에 눈길을 줬다.

1969년 하종현은 비평가 이일ㆍ오광수, 미술가 김구림ㆍ박석원ㆍ서승원ㆍ이승조 등과 함께 한국 아방가르드 협회(AG)를 결성했다. “전위 예술에의 강한 의식을 전제로 비전 빈곤의 한국 화단에 새로운 조형 질서를 모색 창조해 한국 미술 문화에 기여한다”고 선언하며 출범한 AG는 네 번의 전시와 협회지 발간, 1974년 ‘서울 비엔날레’를 조직한 뒤 해체한 그룹이다. 풍요롭지 않은 시대에 젊은 작가와 평론가가 모여 시대의 모순과 억압을 표출하며 전위미술을 펼쳤다.

하종현은 철사ㆍ용수철 같은 일상의 재료로 실험적 작업을 내놓았다. 거울과 두개골ㆍ골반 엑스레이 필름을 활용한 설치는 과거 자료를 찾아내 이번 전시에 재제작했다. 1년 치의 검열된 신문 더미와 아무것도 인쇄되지 않은 같은 크기의 백지를 쌓아 올려 언론 통제를 비판한 설치 ‘대위’(對位ㆍ1971)도 AG 시기 작품이다.

캔버스 뒷면에까지 가시철조망을 붙인 그의 ‘앞뒤 없는’ 실험은 ‘접합’ 연작에서 절정에 달했다. 1974년 “입체 실험에서 얻은 효과를 평면에 어떻게 옮길 수 있을까” 질문한 하종현은 구호 식량이 담겼던 마대의 뒷면에 흰 물감을 듬뿍 바른 뒤 나무주걱으로 밀어내는 ‘배압법’을 고안한다. 올이 성근 마대를 틀에 고정한 뒤 물감을 밀어내 앞면으로 배어 나오게 했다.

신정훈 서울대 미대 교수는 “캔버스를 발로 받치고 팔로 밀고 당기며 진행한 하종현의 작업은 1972년 뉴욕 작업실에서 촬영된 김환기의 점화 작업과 대조적이다. 꼿꼿이 선 채 수직으로 세운 붓으로 점을 그려내는 김환기와 달리 하종현의 작업은 실시간으로 온몸을 사용해 캔버스의 양면에서 진행된다”고 말했다. 작가의 신체적 행위와 물질성의 결합은 단색화로 불리는 한국적 미니멀리즘의 특징이 됐다. 전시는 바로 이 단색화에 이른 실험의 여정이다.

13일 전시장에서 만난 하종현은 “이렇게 모아서 진열해 두니 모든 작품이 내 소중한 자식들 같다”고 말했다. 안휘경 미국 솔로몬 R. 구겐하임 재단 글로벌 전시 및 아시아 미술 이니셔티브 큐레이터는 “하종현은 지칠 줄 모르는 실험 정신에 헌신하며 회화의 끝없는 가능성을 탐구해왔다”고 평가했다. 다음 달 22일 ‘하종현: 실험 정신의 지속’을 주제로 안휘경 큐레이터가 강연한다. 3월에는 서울 국제갤러리에서 작가의 근작을 소개하는 개인전도 열린다. 전시는 4월 20일까지. 성인 1만원.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