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전반의 인재 수급난이 지속된 가운데 인공지능(AI) 인력 충원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약개발, 디지털헬스 등 산업 고도화 요구는 커지지만, 이를 수행할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경쟁력 약화까지 우려된다. 정부는 기업 실무 중심 교육기관을 설립, AI 등 시급한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20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동 발간한 '바이오헬스 인재 수요-공급 대응전략 기획'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산업의 인력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수년간 바이오헬스 분야 인재양성 사업을 했지만 AI, 세포·유전자치료(CGT), 위탁개발생산(CDMO) 등 최근 주목받은 영역과 무관해 '미스매치' 현상도 이어졌다.
실제 두 기관 실태조사 결과 제약 산업 8개 주요 직무 중 인재 수급 미스매치 1위 기술로 꼽힌 것은 'AI' 였다. 연구개발(R&D) 기획부터 후보물질 발굴, 약물감시 등 5개 직무에서 AI 인력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 산업에선 8개 직무 중 하드웨어(HW) 연구개발을 제외한 7개 영역 전체가 AI 인력 수급 불일치가 가장 심각했다.
최근 AI를 활용한 신약개발부터 진단보조 의료기기까지 첨단 바이오헬스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지만, 정작 우리나라는 인재 수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대웅제약, JW중외제약 등 자체 신약개발 조직을 보유한 곳은 물론 AI 의료기기 업계까지 전 영역이 구인난에 허덕이며 프로젝트 수행 차질까지 우려된다.
문제는 바이오헬스 분야 AI 인력을 당장 수급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어렵고, 디지털전환 속도도 가장 느리기 때문이다. 일부 대학에서 생명공학과 AI를 접목한 교육과정을 개설했지만 초급 단계에 머물러 당장 기업이 채용하기엔 괴리가 있다.
제약회사 관계자는 “박사급 AI 인력을 채용하려면 억대 연봉은 기본이고, 각종 인프라 구축까지 제공해야 하는데 이마저도 인재풀이 워낙 좁다 보니 여의치 않다”면서 “결국 게임이나 포털 등 개발자나 데이터 이해도가 있는 타 산업 IT 인력을 채용해 내부 교육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 AI 인재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 개선과 교육기관 설립 등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 시행으로 대학이 산업계 전문가를 겸임 교원으로 채용하는 문이 넓어지고, 기업도 사내 대학 운영을 통해 정식 석·박사 학위 수여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바이오헬스 AI 등 수요가 높은 인재를 양성할 전문가 배출은 물론 기업 실무 교육 과정까지 확대될 수 있다.
'바이오헬스 아카데미'도 처음 만든다.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 아카데미'처럼 기업이 참여하는 실무 인재 양성 교육기관 설립이 목표다.
내달 주관기관을 선정하고 총 5개 훈련기관을 만들 계획이다. 기업-대학이 컨소시엄을 맺거나 기업 단독으로 훈련기관을 만들어 실무형 인재를 양성할 방침이다. 특히 산업계 수요가 높은 AI 부문도 개설을 적극 검토해 국가 차원의 인재 양성에 힘을 보탠다.
신상훈 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헬스인재양성단장은 “현재 바이오헬스는 제2의 반도체로 불릴 만큼 잠재력이 크지만 급진적 산업변화만큼 혁신 인재 양성이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면서 “특히 AI는 대학에서 인력을 양성하지만 바이오헬스 기업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못하는데, 정부의 집중적인 교육지원으로 미래 인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