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스포츠계에서는 현재 주요 스포츠 종목에서 ‘디비전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자신 또는 자신이 속한 팀의 실력과 수준에 따라 자신이 활동하는 디비전에서 꾸준히 뛰면서 상위 디비전으로 승격하기 위해, 개인 종목인 경우에는 현재 자기 랭킹보다 높은 랭킹에 오르기 위해 지속적으로 도전하는 시스템이다. ‘비슷한 경기력의 팀(또는 개인)과 경쟁’, ‘더 많은 실전 기회 제공’, ‘경기력 향상과 저변 확대’ 등이 3대 지향점이다.

■승강제 전체 현황 : 2017년 축구에서 처음 시작된 이 사업은 2024년 기준으로 7개 종목, 1600개 리그에 11만 명 이상이 참가하는 국내 최대 규모 생활·전문 리그로 자리 잡았다. 리그는 종목에 따라 4부까지 또는 7부까지 단계적으로 완성돼 가고 있다. 현재 축구, 탁구, 야구, 당구, 배드민턴, 테니스, 족구 등 7개 종목이 디비전 시스템에 근거해 리그를 1년 이상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농구, 배구, 핸드볼, 하키 등 4개 신규 종목이 디비전 시스템을 처음으로 가동하고 있다. 2024년 총예산은 약 226억원이다. 각 종목별 지원금은 연차에 따라 다르다.
2025년 예산은 축구가 가장 많은 35억원이다. 야구 24억 3000만원, 당구 24억 3000만원, 탁구 24억 3000만원, 테니스 17억 2500만원, 배드민턴 16억 1000만원, 족구 18억 4000만원, 농구 21억원, 배구 21억원, 핸드볼 8억 7500만원, 하키 8억 7500만원 등 총 222억 5000만원이 지원된다.

■종목별 진행상황 : 축구는 K1~K7리그로 세분화돼 프로·세미프로·아마추어 간 구조를 완성했고, 전국 220개 리그에 4만 7000여 명이 참가했다. 야구는 D1~D6 체계를 통해 아마추어 최상위 리그 구축을 추진 중이다. 당구는 전국 240개 리그에 7600여 명이 참가해 전문과 생활을 잇는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는다. 탁구는 실업부터 아마추어까지 T1~T7리그 전 부문에서 승강제가 운영되고 있다. 배드민턴, 테니스, 족구 등은 아마추어 중심으로 리그를 확장하고 있으며, 족구는 J1~J5까지 전 부문 승강제를 완성했다. 한국스포츠과학원이 올해 초 발간한 ‘2024년 승강제리그 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종목별 만족도 조사에서는 100점 만점에 평균 77.6점으로 나타났다. 참가자 만족도는 당구·야구·배드민턴 순으로 높았다. 시군구 담당자는 축구·탁구·배드민턴, 시도 담당자는 야구·탁구·당구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개인 종목은 승강보다는 레이팅 시스템, 즉 랭킹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랭킹 기반의 실력 등급 시스템이 대회 운영 및 통합, 리그 관리 등에 더 적합하다는 뜻이다.

■향후 풀어야 하는 과제 : 2025년부터 디비전 시스템은 본격적으로 ‘I리그’와 통합해 ‘디비전 중심 운영체계’로 전환돼 운영되고 있다. 2013년 축구에서 처음 시작된 I리그는 청소년들이 신나게 스포츠를 즐기면서 저변을 확대하고 클럽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시설 부족, 예산 축소, 복잡한 행정 절차 등 과제가 많다. 야구장은 하천 부지 규제로 조명 설치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고, 농구·배구 등 실내 종목은 학교 체육시설 사용 제한이 크다. 종목단체는 예산 자율성 확보와 후원 유치, 행정 및 회계 간소화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낸다. 이완영 한국스포츠과학원 연구위원은 “디비전 리그는 단순한 승강제가 아니라 누구나 참여해 꾸준히 경기하며 성장하는 리그로 발전해야 한다”며 “종목별 특성에 맞는 유연한 리그 운영 및 대회 통합, 개인 종목 랭킹 시스템 중심으로의 개편, 지역 시설 개선 등이 향후 핵심 과제”라고 말했다.

![[에듀플러스]경기대,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2025 경기SW페스타' 성료](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4/news-p.v1.20251104.361c633c0760479abc1892094a605356_P1.png)

![[컨콜] 크래프톤 인도법인 "'크리켓' 게임 미래 성장 동력으로 개발 중"](https://img.newspim.com/news/2023/07/18/2307181502400690.jpg)
![[전북체육 종목단체 탐방] (12) 전북농구협회](https://cdn.jjan.kr/data2/content/image/2025/11/03/.cache/512/20251103580182.jpg)

